“구상단계 국철 활용 ‘제논 물대기’…용역보고서 비용 줄여 왜곡”
시민단체 “원점 재검토” 촉구
대전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대전시의 도시철도 2호선 용역보고서가 왜곡됐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또 시가 2호선 노선을 정하면서 도시철도가 통과하지 않는 지역에 대한 대안으로 충청권 철도를 활용하는 계획을 밝혔으나 정부부처 등과 논의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9일 성명을 내어 “도시철도 2호선 용역보고서는 도시철도 1호선보다 이용인구를 부풀리고 건설비용도 ㎞당 434억원으로 용인의 606억원보다 낮춰 편익은 늘리고 비용은 줄였다”며 “대전시가 이런 용역보고서를 시민에게 제시한 것은 사실을 왜곡하는 것으로 해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연대회의는 “지난 2004년 민선4기 모노레일 사업 용역보고서를 보면, 진잠~정부청사 사이 1단계 구간의 경제성이 부족해 정류장을 줄여 얻은 경제성 분석결과가 1.013으로 알려져 있다”며 “2호선은 이 구간을 포함해 노선 길이도 늘고 지하구간도 추가됐을 뿐 아니라 대중교통 수요는 줄어 들었다”고 근거를 제시했다.
대전시가 2호선 노선을 결정하면서 밝힌 대전 도심통과 국철 노선의 도시철도 활용 계획도 구상단계여서 도시철도 2호선에서 배제된 대덕구민 등을 달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대전시가 지난 3일 도시철도 2호선 공청회 등에서 진잠~정부청사~진잠을 도는 순환형으로 건설하는 용역안과 함께 충청권 철도를 활용한 국철 활용방안을 밝혔다”며 “그러나 국토해양부는 ‘(충청권 철도는 2016년 이후 건설될 예정으로) 아직 구체적인 건설계획이 진행된 것이 없다’고 알려왔다”고 밝혔다.
대전경실련은 이달초 국토해양부에 ‘충청권 철도 건설 현황 및 국철을 활용한 도시철도 논의 내용’에 대해 정보공개 요청했다. 경실련은 “국토부 담당자가 ‘국토부는 철도를 건설할 뿐 운영은 코레일에 위임돼 있으므로 (국철을 활용한 도시철도 계획은) 코레일과 논의할 일이며 대전시와 협의한 적 없다’고 답변했다”고 전했다.
대전 경실련 이광진 사무처장은 “코레일도 ‘대전시나 국토해양부로 부터 (국철 활용 계획에 대해)요구받은 바 없다’고 밝혔다”며 “대전시는 짜맞춘 용역 결과와 구상 수준인 국철 활용계획 등을 바탕으로 정한 도시철도 2호선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시민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용역보고서의 건설비는 순수 공사비만 계상한 것으로, 통신·차량 등 비용을 포함하면 ㎞당 497억원”이라며 “국철 활용 방안은 충청권 철도 건설 시기를 앞당기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협의해 2호선 1단계가 준공되는 2019년께 전철을 투입하자는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이에 대해 대전시 관계자는 “용역보고서의 건설비는 순수 공사비만 계상한 것으로, 통신·차량 등 비용을 포함하면 ㎞당 497억원”이라며 “국철 활용 방안은 충청권 철도 건설 시기를 앞당기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협의해 2호선 1단계가 준공되는 2019년께 전철을 투입하자는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