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시장, 비디오판독위 구성·외부감사 등 추진 밝혀
승부조작 사건에 휘말렸던 프로축구 대전시티즌이 승부조작 사태 수습과 재발 방지, 인적 쇄신, 제도 개선, 중장기 발전방안 등을 뼈대로 한 재발방지 쇄신안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티즌 구단주인 염홍철 대전시장은 20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내용의 재발방지 쇄신안을 발표하고 “이번 사건으로 추락한 신뢰와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 아마추어 수준의 구단 운영방식과 제도를 개선하고 인적 쇄신을 해 제2의 창단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쇄신안을 보면, 승부조작 재발 방지를 위해 선수 출신 시민, 서포터스, 축구협회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경기 비디오판독위원회를 꾸리고, 선수단 숙소에서 각종 베팅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한다. 선수들의 승리수당 지급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팀 기여도 등을 따져 객관적인 연봉책정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또 선수들의 고충을 상담하는 전문 심리치료사를 배치하고 선수 소양 강화를 위해 외부 강사 초청 강연 등도 정례화하기로 했다. 승부조작 관련자에게는 엄격하게 책임을 묻되, 인적 쇄신은 팀운영의 안정 등을 위해 범위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밖에 신뢰 회복을 위해 필요하면 외부기관 감사를 받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제도개선 대책으로는 사무국과 선수단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사무국장제’ 부활을 검토한다. 선수 영입도 그동안 코칭 스태프 중심 대신, 전문 스카우터를 채용하고 각계 전문가로 ‘선수선발위원회’를 꾸려 검증된 선수를 영입하기로 했다. 유망주 발굴도 강화해 프로와 유소년(유성중, 충남기계공고) 코칭스태프를 통합 관리하고 유소년 코칭스태프는 성적 부진, 지도력 부재 등을 평가해 ‘3진 아웃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중장기 발전방안은 구단의 자생력를 키우고 선수단 육성 체계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외부 전문기관 등의 평가를 거쳐 자주 재원을 창출하고 재정을 건전화한다는 계획이다.
염 시장은 “자주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각종 수익사업을 개발하고 지역 기업들이 시티즌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염 시장은 측근인사로 꼽히는 김광희 전 대전 정무부시장을 시티즌 사장에 기용하는 데 따른 논란에 대해 “지금은 시티즌이 위기상황이므로 강력한 리더십과 조직 장악력, 외부 자금조달 능력 등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며 “경기인 출신 단장제를 도입해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