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이 농어촌 교육의 수준을 높이겠다며 대대적인 고교 통폐합을 추진하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반발하고 나섰다.
전교조 전남지부는 21일 “전남도교육청의 고교 통폐합 계획은 경쟁력과 효율성에 집착한 정책”이라며 “통폐합의 기준을 내놓기도 전에 통폐합 학교 수까지 발표해 유감스럽다”고 비판했다.
전교조 전남지부는 “고교 통폐합은 교육의 공공성과 보편성에 어긋나는 방향”이라며 “여태껏 별다른 토론도 없었는데 3년 안에 고교의 절반을 줄이겠다니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박두열 이 단체 정책실장은 “농어촌 지역에서 고교가 사라지면 인근 초등·중학의 존립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학교 운영을 효율의 잣대만으로 본다면 농어촌 학교들은 끝없이 통폐합해야 하는 운명 아니냐”고 말했다.
앞서 장만채 전남도교육감은 20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농어촌의 교육력을 높이기 위해 2014년까지 도내 고교를 163곳에서 80여곳으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계획대로라면 고교의 절반 이상이 통폐합되는 셈이다.
도교육청은 2008년 이후 4년째 미달 사태를 빚은 전문계고의 통폐합을 우선 추진한다. 전문계고 68곳 중 12~13곳을 내년에 줄이고, 지역의 여건·특성을 고려해 학교별 특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어 일반계고 100여곳은 군지역에서 농어촌중심고·기숙형자율고 1~2곳을 집중 육성하는 방법으로 줄여나갈 방침이다. 통폐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생의 원거리 통학은 기숙사를 설치해 해결하고, 교사 과원 문제는 교육·연수를 통해 진로·상담·사서 등 분야로 전환을 권장할 예정이다.
이런 계획의 실행을 앞두고 오는 28일 오후 2시반 전남 담양군 남면 전남교육연수원에서는 전문계고 통폐합과 인문계고 정상화를 두고 공청회가 열린다.
도교육청 쪽은 “주민과 동문의 반발이 크겠지만 고교는 적정한 규모로 교원과 시설을 갖춰야 교육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며 “초등은 1면 1개교, 중학은 주민 의사에 따라 존치하겠지만 고교는 효율적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도교육청 쪽은 “주민과 동문의 반발이 크겠지만 고교는 적정한 규모로 교원과 시설을 갖춰야 교육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며 “초등은 1면 1개교, 중학은 주민 의사에 따라 존치하겠지만 고교는 효율적으로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