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인시설 평가 문구 똑같아 특정업체 로비설 뒷받침”
참여자치21, 시에 재입찰 촉구…감사·수사의뢰 ‘경고’
참여자치21, 시에 재입찰 촉구…감사·수사의뢰 ‘경고’
“부지정지 및 토공계획, 공법의 적정성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고, 수처리를 고려한 기존 시설물의 개량 등에서 가장 우수하다.”
지난 4월21일 광주시 하수처리장의 총인처리시설 설계심의 때 작성된 심의위원 2명의 평가의견이다. 이들이 거론한 평가 항목이 3개로 동일하고, ‘전반적 양호’나 ‘가장 우수’처럼 서술 방식도 거의 같다. 이들은 이날 시공사로 선정된 대림산업에 나란히 1위를 주었다. 경쟁 대열에서 밀린 ㅋ업체를 2위로 올려 역선택한 것까지 우연치 않게 일치한다.
광주지역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은 22일 정보공개를 청구해 입수한 광주시 하수처리장 총인처리시설 시공사 선정자료를 근거로 불공정 심사 의혹을 제기했다.
참여자치21은 “주관적으로 작성하는 평가의견이 동일한 문구로 작성됐다는 사실은 일부 심의위원이 사전에 특정 업체의 로비를 받았고, 업체에서 제시한 메모나 쪽지대로 평가했다는 의혹을 살 만하다”고 주장했다.
또 참여자치21은 또 “광주시 간부가 광주시의회 답변에서 ‘총인시설 심의위원들에 대한 업체들의 치열한 접촉 시도가 있었다’고 발언한 점도 로비설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밝혔다.
참여자치21은 이어 “선정 이후 말썽이 나자 광주시는 대림산업의 유지관리비를 낮추도록 종용해 하수처리수의 수질기준을 떨어뜨렸다”며 “연간 유지관리비를 91억원에서 61억원으로 줄인 탓에 대림산업은 배출수의 총인 용량을 0.27㎎/ℓ에서 0.30㎎/ℓ로, 대장균군 수는 ‘불검출’에서 ‘3000마리 이하’로 낮추어 수질 악화를 초래하게 됐다”고 따졌다.
이를 근거로 참여자치21은 시공사 선정 과정의 △가격 담합 △평가 잘못 △수질 후퇴 △심의 로비 등 4가지 의혹을 제기한 뒤 시공사 선정 취소와 재입찰 시행을 촉구했다. 참여자치21은 광주시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감사원 감사청구, 검찰 수사의뢰, 공정거래위 제소 등의 방법으로 진상을 규명하겠다고 다짐했다. 변원섭 이 단체 운영위원장은 “평가서의 문구와 순위가 동일한 것은 로비 의혹을 뒷받침하는 증거”라며 “광주시가 서둘러 잘못을 인정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정이 이뤄졌으나, 설계시공 일괄입찰 절차와 총인처리 기술 사항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의혹이 비롯됐다”며 떨떠름한 반응을 보였다. 시 쪽은 “심의위원들이 토론 때 의견을 나누고 적을 수 있어 평가서가 우연히 비슷해졌을 뿐”이라며 “배출수의 기준도 하수도법의 허용치를 만족하는 만큼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해명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