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5일 숨진 안현태씨
5·18 단체들 추진…결정서류 정보공개도 청구
*안현태: 전두환 전 경호실장
*안현태: 전두환 전 경호실장
정부가 전두환 정권 때 청와대 경호실장을 지낸 안현태씨를 국립대전현충원에 기습 안장한 데 대한 반발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5·18 3단체와 5·18기념재단은 8일 광주 5·18기념재단에서 대책회의를 열어 △전국적 반대운동 조직 결성 △안장결정서류 정보공개 청구 △안장결정 취소청구 소송 △반민주 인사 국립묘지 안장금지법 청원 등을 결의했다.
이들 단체는 10일 국가보훈처를 항의방문해 안씨의 안장을 결정한 서류의 정보공개를 청구하고, 12일까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참여연대 등 전국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안현태 등 반민주인사 국립묘지 안장반대 국민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앞으로 비슷한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중대 인권침해사건, 국가폭력사건, 권력형 비리사건 연루자 중 사법처리된 자의 국립묘지 안장을 금지하는 법률을 서둘러 제정하도록 청원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의회도 성명을 내어 “안씨의 국립묘지 안장은 민주화운동에 대한 모독”이라며 “국가보훈처는 안장 결정을 철회하고, 졸속 결정을 국민한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민족문제연구소를 비롯한 대전지역 시민단체도 이날 국립대전현충원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군사쿠데타의 주역, 5·18 광주학살 주범 안씨를 현충원에 안장하기로 한 의결을 즉각 철회하고 이장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안씨의 안장은 5·18 영령들을 두 번 죽이는 반역사적 행위”라며 안씨가 안장된 현충원 장군 묘역에서 이장을 촉구하는 행위극을 벌였다. 박희인 대전충남통일연대 반전평화위원장은 “현재 가묘 상태인 안씨 무덤에 묘비를 세우는 등의 후속 조처를 못 하게 막겠다”고 말했다.
국가보훈처는 지난 5일 이례적인 서면심사로 안씨를 국립묘지에 안장하기로 결정하고, 다음날인 6일 대전현충원에 기습적으로 안장했다. 광주 대전/안관옥 송인걸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