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14명중 41% ‘65살 이상’
농어촌지역이 평균치 웃돌아
“안전망 구축 종합대책 시급”
농어촌지역이 평균치 웃돌아
“안전망 구축 종합대책 시급”
충남도내 황혼 자살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 전문가들은 사회안전망 구축을 포함한 종합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충남도가 집계한 지난해 도내 자살사망자 통계를 보면, 모두 914명이 자살했으며 이 가운데 40.9%인 374명이 만 65살 이상 노인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1명의 노인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셈이다. 도는 외로움과 경제난, 질병, 무기력 등을 노인 자살의 원인으로 추정했다.
지역별로는 태안군과 계룡시가 자살 사망자 가운데 65살 이상이 60%로 가장 높았다. 또 홍성군(53.2%), 청양군(52.2%), 연기군(51.5%), 서천군(50.0%) 등 농어촌 시·군의 노인 자살률도 도 평균치를 웃돌았다.
강병국 도 보건복지국장은 “자살예방법이 제정된 만큼 이르면 다음달부터 사례별 실태조사 등을 벌여 자살 원인을 분석할 것”이라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자살방지 종합대책을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인복지 전문가들은 노인 자살은 원인이 매우 다양해 사회안전망 구축을 기본으로 하고, 삶의 질까지 고려한 광범위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농어촌지역에서 노인 자살이 많은 직접적인 원인은 농약 접근성이 쉽기 때문이라며 마을별로 농약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안을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권중돈 교수는 “노인에게는 자식이 실직을 하거나 지병이 깊어지는 경우 등 주변의 모든 상황이 자살로 이어질 정도로 원인이 다양하고 복잡하다”며 “자살 원인을 찾아 대응하기보다 생활환경, 건강, 여가, 경제성을 모두 고려해 노인들의 삶의 수준을 높이는 농어촌 노인복지정책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