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투표끝 23년만에 폐지
재정·인센티브 지원 받게 돼
재정·인센티브 지원 받게 돼
강원도 춘천의 강원대학교가 23년 만에 총장직선제를 포기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총장직선제를 빌미삼아 이 대학을 구조개혁 중점추진 국립대로 지정한 지 68일 만이다.
강원대는 지난 29일 ‘총장직선제 폐지 수용 여부를 묻는 교직원 찬반투표를 했더니, 51.65%가 폐지를 찬성해 총장직선제를 폐지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찬반투표에는 교수와 교직원 등 총 투표인단 1406명 가운데 1313명(93.4%)이 참여했다. 개표 결과, 유효 투표 943.2명 가운데 직선제 폐지 찬성이 487.2표(51.65%), 폐지 반대가 456표(48.35%)로 폐지 찬성 의견이 3.3% 많았다.
총장직선제 폐지에 따라, 이 대학은 구조개혁 중점추진 국립대에서 해제되고 재정 지원과 특성화 육성 등 인센티브를 받는다.
대학 관계자들은 학생들의 피해를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면서도, 1988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총장직선제를 도입한 전통을 지키지 못한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이 대학 구조개혁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대학본부에서 정기회의를 열어 현 총장의 임기가 내년 8월4일까지인 점을 고려해 내년 5~6월에 총장추천위원회를 꾸리는 것 등 직선제 폐지에 따른 대책과 구조 개혁안 수립, 교과부와의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창규 강원대 구조개혁비상대책위원장은 “교수님들의 뜻이 이렇게 모아진 이상 폐지로 가야 할 것”이라며 수용의 뜻을 밝혔다.
이 교수는 “구성원들이 ‘(총장직선제를 유지해) 교과부를 상대로 끝까지 해보자’는 의견과 ‘그래도 당장은 학교를 구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뉘기는 했지만 학교를 위한 마음은 하나였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