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들어 광주지역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처리용량을 200t씩 넘어서자 시민단체들이 행정기관에 졸속행정 중단과 대책기구 구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또 소박한 식단 차리기, 음식물 안 남기기, 음식물 물기 없애 내놓기 따위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시민운동을 펴기로 했다.
광주전남녹색연합·광주환경운동연합·광주새마을회·광주YMCA·광주YWCA·시민생활환경회의 등 광주지역 시민환경단체 6곳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문제를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자”고 호소했다.
이들은 “위기의 원인은 배출량을 하루 200t씩 낮게 추계해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광주시청의 안일한 대응에 있지만 처리용량이 충분하더라도 감량하지 않으면 제2, 제3의 시설이 필요한 악순환이 되풀이될 것”이라며 감량운동을 제안했다.
이들은 또 △행정기관의 적극적인 방송·전단 홍보 △행정·기업·시민이 참여하는 대책회의 구성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도 시행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어 “시민 40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에서 행정기관의 감량정책이 효과가 없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며 “음식물쓰레기 대란의 현황을 알리고 감량을 호소하려면 사료화공장 현장 방문과 지렁이 퇴비화 사업 시행을 아울러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서 광주시는 지난 18일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다량 배출장소인 음식점과 아파트에 감량 목표를 제시하고 감량 상금을 약속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대책을 내놨다.
이 대책에는 자치구가 나서 음식점에서 50% 감량계획을 제출받고 아파트마다 감량목표를 권고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감량 협약을 체결한 음식점은 인증서 발급, 협약점 홍보, 메뉴판 지원 등 혜택을 준다. 감량 상금도 구별로 아파트는 2억원, 음식점은 1억원 안에서 지원하기로 했다.
이 대책은 감량의 주체인 개인과 가정에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음식점과 아파트의 자율적인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내기 어려운 탁상행정의 본보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광주지역의 음식물 예상 발생량은 하루 평균 6월 484t, 7월 490t, 8월 460t, 9월 440t으로 추정되지만 처리용량은 300t에 불과해 나머지는 1t에 6만3천원씩 대전·충남·전북 등지로 보내 처리하는 실정이다. 시는 9월 초 150t 처리용량의 송대자원화시설을 시험 가동할 예정이지만 여름 과채류 소비가 폭증해 발생량이 최대 600t까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면서 쓰레기 대란의 위기감이 한껏 높아졌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이 대책은 감량의 주체인 개인과 가정에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가지 않고, 음식점과 아파트의 자율적인 참여와 관심을 이끌어내기 어려운 탁상행정의 본보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광주지역의 음식물 예상 발생량은 하루 평균 6월 484t, 7월 490t, 8월 460t, 9월 440t으로 추정되지만 처리용량은 300t에 불과해 나머지는 1t에 6만3천원씩 대전·충남·전북 등지로 보내 처리하는 실정이다. 시는 9월 초 150t 처리용량의 송대자원화시설을 시험 가동할 예정이지만 여름 과채류 소비가 폭증해 발생량이 최대 600t까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면서 쓰레기 대란의 위기감이 한껏 높아졌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