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발전연구원 “옛 전남도청 등 전시공간 활용” 제안
광주비엔날레의 정체성을 살리려면 옛 전남도청, 국군광주병원, 광주기무부대, 광주교도소 등지 민주·인권 유산들을 전시에 활용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광주발전연구원 정성구 도시환경연구실장은 4일 연구지 <포커스 광주>에 게재한 논문 ‘해외 비엔날레 사례를 통한 광주비엔날레 발전방안’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정 실장은 “베네치아(베니스)·리옹·이스탄불 비엔날레는 역사적 건축물을 전시에 활용해 도시의 특성을 보여주고, 고유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며 “광주비엔날레도 민주·인권의 역사를 떠올리게 하는 건축물들을 전시공간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전시 활용이 가능한 본보기들로는 1980년 5·18민중항쟁 당시 시민군이 최후까지 항전했던 옛 전남도청(사진)을 비롯해 국군광주병원, 광주교도소, 광주기무부대, 광주가톨릭센터 등지 사적지들을 들었다.
또 베니스가 조선소를 개조하고, 리옹이 설탕창고를 활용했으며, 이스탄불이 사원과 해협 사이 담배창고를 전시공간으로 이용한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현재의 본전시 공간은 평범하고 밋밋하다”며 “민주인권 도시의 분위기를 함축한 공간이 있다면 전시에 활용해 관람객들한테 강한 인상을 심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5월 5·18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광주의 국제적 지명도가 높아졌다”며 “민주·인권을 상징하는 광주만의 건축물들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재단은 2002년과 2004년 옛 군부대 주둔지였던 상무대의 영창·법정을 전시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했다. 또 5·18 당시 시민군의 보급창고 구실을 했던 대인시장과 양동시장 등지에서도 현장전시를 펼친 경험도 있다.
조인호 광주비엔날레 정책연구실장은 “이미 시도했고 앞으로도 고려해볼 만한 제안”이라며 “다만 전시 주제에 맞아야 하고, 작품을 설치하고 출입이 가능할 정도로 건물이 안전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이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부분 민주인권 유적들이 5·18사적지로 지정됐기 때문에 원형 훼손을 우려하는 5월단체나 광주시 쪽의 반대가 있을 수 있다는 걱정도 덧붙였다.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9월7일~11월11일 66일 동안 중외공원 일대에서 ‘라운드 테이블’이라는 주제로 펼쳐진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9월7일~11월11일 66일 동안 중외공원 일대에서 ‘라운드 테이블’이라는 주제로 펼쳐진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