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관장 연석회의 열려
“광주가 인권도시로 발돋움하려면 학생 폭력만은 반드시 추방해야 합니다.”
강운태 광주시장, 장휘국 광주시교육감, 이금형 광주경찰청장 등 광주지역 주요 기관장들은 9일 광주시청에서 학교폭력방지대책 연석회의를 열어 모든 공공기관과 시민단체의 협력을 다짐했다.
이들은 “인권도시의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학생을 학교폭력에서 보호하는 사업을 벌이자”며 “이것이 불행한 학생 자살을 막아 생명을 존중하고 인권을 누리는 도시를 만드는 지름길”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학교폭력은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과 사회의 최대 현안”이라며 “학교 행정 경찰 가정 시민단체가 모두 나서 대처하자”고 약속했다.
광주시교육청은 올해 안에 신고전용 휴대전화를 학교폭력이 자주 발생한 중학교 87곳에 보급하고, 사업효과를 분석해 초·중·고교 306곳으로 확대하는 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배움터 지킴이 배치와 폐쇄회로카메라 설치 등도 재확인했다.
광주경찰청은 범죄예방교실 운영, 학교대책위 경찰관 파견, 학교폭력신고 활성화 등을 추진한다. 광주시도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신고방법 홍보 강화, 위기청소년 교육 강화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강 시장은 “학생들이 인권의 주체라는 사실을 알리고, 방관자들에게 학교폭력을 적극적으로 신고하도록 홍보해야 한다”며 “학교폭력 신고가 들어오면 엄정하게 처리하는 체계를 갖추자”고 당부했다.
광주시교육청이 집계한 광주지역의 학교폭력 건수는 2009년 1179건, 2010년 995건, 2011년 652건이었다. 학교 폭력 피해는 중 1학년이 가장 많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들었다. 학교폭력 피해유형은 ‘맞았다’(39%), ‘욕설이나 모욕’(20%), ‘말로 협박이나 위협’(10%) 등 차례였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