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국회의원 지원 시민선거인단 모집 등 극성
“후진적 줄서기” 비판에 “운명 공동체” 현실론도
“후진적 줄서기” 비판에 “운명 공동체” 현실론도
지난 14일 오후 광주시의회 기자실에서 광주 서구의 지방의원 5명이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민주통합당 광주서구갑 조영택 예비후보 선거대책본부 이름으로 “광주 언론사들이 벌인 공동 여론조사의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는 바람에 결과의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현역 국회의원인 조 예비후보가 여론조사에서 4기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의장 출신인 송갑석 예비후보한테 12.7%포인트 뒤진 데 대한 해명이었다. 회견이 끝난 뒤 ‘지방의원이 국회의원의 대변인이냐’는 뒷말이 나왔다.
4·11 총선을 앞두고 상당수 지방의원들이 지역구 현역 국회의원 지지를 호소하는 등 사실상의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어 여론의 도마에 오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최근 선거사무원으로 등록하지 않는 지방의원이 현역 국회의원의 지지를 호소하는 것은 위법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 하지만 상당수 지방의원들은 6·2지방선거 때 공천에 영향을 행사했던 국회의원을 지지하는 사실상의 선거운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민주통합당 경선방식이 국민경선으로 결정되면서 평소 관리하던 조직을 동원해 시민선거인단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다. 또 자체적으로 선거대책본부를 구성해 유권자들한테 지지를 호소하거나 당내 여론조사 참여를 독려하는 등 다양한 활동으로 마찰을 빚고 있다.
민주통합당 송갑석 광주서구갑 예비후보는 15일 ‘줄서기에 바쁜 현역 시·구의원 눈살’이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현역 시·구의원이 지역 현안사업과 의정활동은 뒤로하고 국회의원의 대변인으로 전락해 버린 모습은 ‘후진적 관행’”이라고 꼬집었다.
제보를 받은 선관위는 예비후보의 선거대책본부가 유사선거기관인 만큼 명칭을 사용하지 말도록 경고하고, 참석한 지방의원들의 선거법 위반 여부를 조사중이다.
반면 일부에선 국회의원과 지방의원이 공동의 이해관계로 얽혀 있는 만큼 지원이 허용되는 시기와 내용을 구체화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현실론을 폈다.
한 지방의원은 “공천해준 국회의원이 떨어지면 지방의원도 미래를 보장받을 수 없으니 양자는 공동운명체”라며 “지인들을 선거인단이나 후원조직으로 만들고, 지역 순회할 때 수행하는 등 방법으로 돕지만 어떻게 막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피자스쿨’ 100% 자연산 치즈라더니…
■ ‘심장마비 햄버거’ 먹다가 진짜로 심장마비
■ “공주님, 정수장학회·영남대 어떻게 할 건가요”
■ 강남 고1 수업 도중 갑자기 4층 교실 창문 밖으로…
■ 나경원 서울 중구에서 신은경과 맞대결
<한겨레 인기기사>
■ ‘피자스쿨’ 100% 자연산 치즈라더니…
■ ‘심장마비 햄버거’ 먹다가 진짜로 심장마비
■ “공주님, 정수장학회·영남대 어떻게 할 건가요”
■ 강남 고1 수업 도중 갑자기 4층 교실 창문 밖으로…
■ 나경원 서울 중구에서 신은경과 맞대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