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으론 첫 공론화…대입제도 개선 촉구
‘공금 부당사용’ 논란속 국면전환용 의혹도
‘공금 부당사용’ 논란속 국면전환용 의혹도
4·11 총선을 앞두고 장만채 전남도교육감이 수학능력시험을 자격고사로 만들고 대학입시제도를 근본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의제를 정치권에 던졌다.
장 교육감은 15일 전남도교육청에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라는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 정당과 총선 후보 등 정치권을 향해 △수학능력시험 자격고사화 △대학입시제도 개선 △농어촌교육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수능 자격고사화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참교육학부모회 등지에서 주장한 적은 있지만 시·도의 보통교육을 책임지는 교육감이 공론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난이도가 높은 수능에 대비하기 위해 초·중등 교육과정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학생들의 학습량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현행 대입제도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무지개학교(혁신학교), 독서·토론 교육, 문화·예술 교육 등 편향 없이 균형잡힌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현행 입시제도”라며 “이 제도를 그대로 둔 채 창의·인성교육을 강조하고 학교폭력을 줄이겠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사회의 미래를 생각하면 더는 개선을 미룰 수 없다”며 “초·중·고는 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과정을 운영하고, 대학은 저마다 추구하는 미래형 인재를 뽑을 수 있도록 입시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는 대학입시와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문제는 교육감이 해결할 수 없는 만큼 국회와 정당,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선의 방법을 두고는 “정부는 수능을 자격고사화하고 대학은 본고사를 치르는 대신 다양한 기준에 따른 추천으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며 “입학 사정관제 운영을 내실화하고 지역균형선발, 지역할당제, 농어촌전형, 사회배려자모집 등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밖에도 “농어촌이 무너지면 나라의 근본이 붕괴된다”며 “여야와 도농, 진보와 보수가 두루 별도의 교육예산과 교원정원을 농어촌에 배치할 수 있는 ‘농어촌교육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공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 회견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지난 13일 “장 교육감이 2007~2010년 순천대 총장 재직 때 대외활동비 7800만원을 불분명하게 집행했다”며 검찰에 그를 고발한 지 이틀 만에 이뤄져 ‘국면 전환용 아니냐’는 뒷말을 낳기도 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