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막 뒤 활용 방안은
빅오·디지털갤러리·스카이타워 유지
아쿠아리움 13일부터 재개장 영업
빅오·디지털갤러리·스카이타워 유지
아쿠아리움 13일부터 재개장 영업
여수박람회 폐막 뒤 여수 신항 일대는 해양 휴양 관광리조트로 탈바꿈한다.
여수박람회조직위원회는 박람회가 끝난 뒤 주제와 시설 등 유무형의 자산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두고 고심해왔다. 지난 4월 시행된 ‘여수세계박람회 지원 및 사후 활용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연말까지 사후 활용 방안을 확정한다는 시간표를 갖고 있다. 지난 1~6월엔 2억원을 들여 연구용역을 했고, 이를 토대로 조직위 안을 만들어 국토해양부에 냈다. 국토부는 이를 보완한 정부안으로 관계부처 협의와 정부지원위원회 심의 등 절차를 밟고 있다.
정부안에는 여수 신항 일대를 최고의 해양 휴양 관광리조트로 만드는 기본방향이 담겼다. 2조1000억원을 들인 첨단시설, 미항인 여수의 자연, 크루즈·고속철을 갖춘 교통망 등을 기초로 시드니·니스·모나코 같은 해양도시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박람회장 시설 중 핵심 시설 6곳은 남기고 나머지는 철거한다. 아쿠아리움은 폐막 다음날인 13일부터 흰고래 벨루가, 바이칼물범 등 해양생물들을 만나는 볼거리로 관람료 2만5000원(어른 기준)에 재개장한다.
3대 명물로 꼽힌 빅오, 디지털갤러리, 스카이타워 등도 한달 안에 다시 열린다. 빅오 설비는 멀티미디어쇼·해상분수쇼를 상설로 공연한다. 디지털갤러리와 스카이타워에서는 각종 공연과 행사를 펼친다. 국제관과 한국관은 해양보전 주제 구현, 크루즈·요트·시푸드 사업, 해양 힐링센터 조성 등에 활용해 공익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이런 사업을 맡을 주체를 놓고 토론이 치열하다. 최근 국회와 여수에서 잇따라 벌어진 토론회에서는 박람회장의 토지·시설을 관리하는 자산관리공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국가가 설립한 공사가 시설들을 관리하면서 민간투자 유치와 운영주체 선정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운영을 담당할 기구로는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민간투자자, 특수합작법인 등 다양한 형태가 논의됐다.
특별법에 따라 운영 주체는 연말까지 세워지고, 그 이전에는 박람회조직위가 수행한다. 사후 활용을 두고 공공기관은 수익구조라는 ‘현실’에, 시민단체는 주제 구현이라는 ‘이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상훈 여수엑스포시민포럼 사무처장은 “사후 활용은 뒤처리가 아니라 박람회의 진정한 출발점”이라며 “공공적인 성격의 주제 구현을 위해 정부가 선도적으로 투자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여수/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친박’들한테 돈 상납하는 새누리당 풍토
■ “박근혜, 정수장학회 최필립 등한테서 7500만원 후원금”
■ ‘시신유기’ 의사 “우유주사 맞을까요?” 문자 메시지
■ 현영희 의혹 ‘3억원’ 출처 의문…소형 유치원 말곤 수입원 없어
■ 싸이 ‘강남스타일', 미국 넘어 유럽 상륙
■ 육군 대위 소총 자살…군 허술한 총기 관리 도마에
■ [화보] 낙동강 이어 한강도 ‘녹차 라떼’
■ ‘친박’들한테 돈 상납하는 새누리당 풍토
■ “박근혜, 정수장학회 최필립 등한테서 7500만원 후원금”
■ ‘시신유기’ 의사 “우유주사 맞을까요?” 문자 메시지
■ 현영희 의혹 ‘3억원’ 출처 의문…소형 유치원 말곤 수입원 없어
■ 싸이 ‘강남스타일', 미국 넘어 유럽 상륙
■ 육군 대위 소총 자살…군 허술한 총기 관리 도마에
■ [화보] 낙동강 이어 한강도 ‘녹차 라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