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서 투쟁선포…전북도 곧 참여
벼 경작지 34% 망가져 대책 요구
“정부, 쌀값 잡는 데만 급급” 비판
이달 하순 청와대 앞 시위 예정
벼 경작지 34% 망가져 대책 요구
“정부, 쌀값 잡는 데만 급급” 비판
이달 하순 청와대 앞 시위 예정
가을걷이를 앞두고 호남지역 농민들이 태풍피해 보상과 국가수매제 도입을 촉구하는 시·군별 투쟁에 돌입했다.
광주전남농민연대는 8일 보성·담양·광주 등 8개 시·군에서 올해 불어닥친 태풍 3개의 피해를 보상받고, 쌀·보리·콩·밀 등 13개 기초농산물의 국가수매제를 도입하기 위한 농민투쟁 선포식을 열었다. 특히 장흥·순천·영광 등 3곳의 농민들은 백수 피해를 입어 쭉정이로 변해버린 볏단을 군청 앞마당에 쌓아두는 시위를 펼치며 정부의 대책을 요구했다.
농민들은 “잇단 태풍으로 전남지역 벼 경작지 17만㏊ 중 34%인 5만㏊가 백수·염해 피해를 봤다”며 “정부가 피해 논 1㏊당 대파비(벼 대신 파종하는 작물의 씨앗대금) 110만원과 사료비 4만원을 지원하겠다는 현실성 없는 정책만 만지작이고 있다”고 개탄했다.
백수 피해란 센 바람에 벼 이삭이 아예 수정이 안 되거나 수정이 됐어도 안의 수분이 말라버려 여물지 않고 쭉정이만 남는 현상을 이른다. 이런 피해는 전남 해안에 집중돼 지난달 순천·해남·함평·무안 등 등지에선 농업재해보상법 제정을 촉구하는 집회가 잇따라 열렸다.
광주전남농민연대는 이어 “쌀 자급률이 지난해 83%에서 올해 태풍 피해로 더욱 낮아질 것”이라며 “쌀 부족이 심각한데도 정부는 공공비축미 가격을 시중의 5만4000원보다 5000원이나 싼 4만9000원으로 예시해 쌀값을 잡는 데만 신경을 쓰고 있다”고 비판했다. 농민들은 결의문을 통해 “태풍 피해를 확실하게 보상받고,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국가수매제를 도입하도록 대통령 선거일인 12월19일까지 공공비축미 수매를 거부하고 투쟁하겠다”고 다짐했다. 박형대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광주전남연맹 사무처장은 “농민의 실정을 전혀 모르는 정부와 국회를 찾아가 항의하겠다”며 “농축산물 청와대 반납투쟁을 이달 하순과 11월22일 두차례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전농 전북도연맹도 이달 중순께부터 쌀 투쟁에 나설 방침이다. 하연호 전농 전북도연맹 의장은 “국가수매제 시행 대상인 기초농산물 중 육류에 대한 방침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잡히지 않았지만 이달 중순 일정을 정해 본격적인 투쟁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박임근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캠프 김호기 교수 “10월말부터 단일화 논의”
■ “박, 위기의식 이해 부족”…식지않는 ‘지도부 사퇴론’
■ “해적에 납치된 아버지 석방 도와주세요”
■ 성묘 뒤 열나고 머리 지끈…헉, 감기가 아니네
■ “재벌들은 죄지어도 특별사면…반칙 통하니 살맛 안나”
■ ‘어머니 고향’ 호소하며… 박근혜, 충청권 선두 다지기
■ [화보] 드럼통이 나가신다!
■ 안캠프 김호기 교수 “10월말부터 단일화 논의”
■ “박, 위기의식 이해 부족”…식지않는 ‘지도부 사퇴론’
■ “해적에 납치된 아버지 석방 도와주세요”
■ 성묘 뒤 열나고 머리 지끈…헉, 감기가 아니네
■ “재벌들은 죄지어도 특별사면…반칙 통하니 살맛 안나”
■ ‘어머니 고향’ 호소하며… 박근혜, 충청권 선두 다지기
■ [화보] 드럼통이 나가신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