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여수항만에 “백지화” 촉구
앞서 시·시의회 전남도 등 반대의사
구미 유출 영향…사업추진 어려울 듯
앞서 시·시의회 전남도 등 반대의사
구미 유출 영향…사업추진 어려울 듯
경북 구미의 불산 유출 사태 이후 광양시와 전남도 등이 전남 광양지역에 추진되던 불산제조공장 건립에 반대해 사실상 사업 추진이 힘들 것으로 보인다.
광양환경운동연합은 29일 “그동안 주승용·우윤근 의원 등 광양만권 국회의원 3명, 광양시청과 광양시의회, 전남도 등이 광양 불산공장 건설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이제 여수광양항만공사 쪽이 건립 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지난 2월 영국계 칼루즈그룹의 자회사인 멕시켐과 광양항 서쪽 배후 터 13만㎡에 불산공장을 건립하기로 하는 양해각서를 맺으면서 불산공장 건설 사업을 추진해왔다. 멕시켐은 2014년까지 3000억원을 들여 연간 불산 13만5000t을 생산하는 공장을 지을 예정이었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구미 불산 유출 사태 이후 공장 건립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지만 멕시켐이 사업계획서를 아직 제출하지 않았다며 철회하지 않고 있다. 이 사업과 관련해 공장 설립의 인허가는 국토해양부 산하 여수해양항만청이 담당하고, 오·폐수와 가스 배출 측정 등은 전남도가 관여한다.
이에 대해 광양환경운동연합은 “불산공장 건립 예정터에서 인구 5만명이 사는 광양시 중마동까지 거리는 겨우 3.5㎞에 불과하다”며 “가깝게는 500m, 멀리는 4㎞까지 직간접 영향 지역 안에 인구 6만~7만명이 살고 있는 만큼 절대 추진해선 안 된다”고 밝혔다. 광양만녹색연합과 광양만환경포럼 등 광양지역 9개 시민단체도 지난 10일 △주민설명회 개최 △광양시의회 조사특위 구성 △여수광양항만공사의 사과 등을 촉구한 바 있다. 백성호 광양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구미 사태로 주민들의 경각심이 높아졌다”며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명시적으로 철회 의사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이성웅 광양시장과 이정문 광양시의회 의장도 지난 18일 여수광양항만공사를 찾아가 불산공장에 대한 반대 뜻을 전달했다. 광양시의회는 “여수광양항만공사가 독성 화학물질인 불산제조공장 건립을 시민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며 “앞으로 광양항 배후단지에 이런 유해업종이 유치되지 않도록 하라”고 요구했다. 전남도도 지난 23일 도정질문 답변에서 “공장을 건립하려면 해당 터의 토지 용도를 물류유통에서 공장용지로 변경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진행될 주민 공청회에서 반대 뜻을 밝히겠다”고 약속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 삼우 폭풍성장 뒤에는 ‘사돈’ 현대차가 있다
■ 성폭행 당한 딸 아빠에게 선처 호소를?
■ 문재인·안철수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 검토
■ 말바꾼 대통령 아들 6억 배달시점도 ‘수상’
■ “제주올레 성공 이유는 역설적으로 한국이 ‘피로 사회’이기 때문”
■ 진중권 vs 누리꾼 맞장토론…싱겁게 끝났네
■ [화보] 이번 경기는 ‘우리 힘 한데 모아’ 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