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지역 시민단체들 성명
“허술한 회계·감사 수술을”
“허술한 회계·감사 수술을”
전남 여수지역 시민단체들이 31일 여수시 공무원이 공금 76억원을 횡령한 사건과 관련해 시장 책임론을 거론하고 나섰다.
여수시민협의회와 여수환경운동연합 등 여수지역 6개 시민사회단체들은 이날 성명을 내어 “여수시가 문제가 불거진 결재 라인의 상급자를 문책하지 않고, 허술한 회계·감사 제도를 수술하지 않는다면 김충석 여수시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등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또 이들은 “여수시 공무원 김아무개씨 부부의 공금횡령 사건의 전말을 듣고 여수가 또다시 ‘비리도시’의 오명을 뒤집어쓰게 됐다는 참담함과 절망감을 금할 수 없다”며 “국고 손실과 관리 부실이 드러난 여수 시정을 바로 세우는 활동을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여수시는 민선 5기 출범 당시 공직자의 청렴실천 서약,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시민감사관제 등을 도입, 운영하며 청렴행정을 강조했지만 이번 사건으로 허상이 한꺼번에 드러났다”며 “여수시가 피해액 수십억원을 보충하기 위해 또다시 예산을 투입해야 할 가능성도 있어 걱정이 앞선다”고 개탄했다.
이들은 이어 “전남도 정기 감사와 여수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여수시 자체감사 등 10여 차례 감사가 있었지만 공금횡령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다”며 “묻힐 뻔한 사건이 감사원의 감사를 통해 겨우 적발된 만큼 민간 감사전문가 투입과 회계 담당자 순환근무 등 제도를 수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태성 여수시민협의회 사무처장은 “상급자가 허위 도장이 찍힌 서류만 제대로 살폈어도, 담당과가 상품권 회수 업무를 수시로 챙겼어도, 시금고 담당자가 거액의 환급금을 의심해 확인만 했어도 비리를 막을 수 있었다”며 “사건 이후 변명으로 일관한 여수시장의 태도가 실망스러워 이런 성명을 내게 됐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문재인, 투표시간 연장땐 ‘152억 포기’ 결단
■ “어떤 병 걸려도 연간 본인부담 100만원”
■ 전두환의 가족복수극 “장인 땅 해먹은 놈 형사 시켜 잡아서…”
■ 현대차 정비가맹점에 “리바트 가구 들여라”
■ 사흘째 의식없는 장애아 남매…“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 “미친 기계가 1년간 월급 꿀꺽”…군인 가족 뿔났다
■ [화보] 20키로 모래주머니 쯤이야
■ 문재인, 투표시간 연장땐 ‘152억 포기’ 결단
■ “어떤 병 걸려도 연간 본인부담 100만원”
■ 전두환의 가족복수극 “장인 땅 해먹은 놈 형사 시켜 잡아서…”
■ 현대차 정비가맹점에 “리바트 가구 들여라”
■ 사흘째 의식없는 장애아 남매…“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 “미친 기계가 1년간 월급 꿀꺽”…군인 가족 뿔났다
■ [화보] 20키로 모래주머니 쯤이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