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개 단체 모여 안전대책 등 촉구
전남도도 정부 합동조사단 요구
전남도도 정부 합동조사단 요구
영광원전의 품질보증서 위조 납품 비리와 3호기 제어봉 관통관 균열이 잇따르면서 환경단체와 전남도가 국정조사와 주민이주 등 안전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핵없는세상 광주전남행동과 광주전남진보연대 등 35개 단체는 14일 광주와이엠시에이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위조부품 비리와 3호기 균열사고를 규명하기 위해 국정조사를 하고, 책임자를 엄벌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9월 외부 인사의 제보로 위조 부품이 쓰인 사실을 확인하고도 한 달 넘게 원전 가동을 지속했다”며 “3호기 원자로의 제어봉 관통관에서는 균열이 6곳이나 발생했는데도 시점과 원인을 제대로 몰라 주민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광원전 30㎞ 안 주민과 의회가 참여하는 ‘영광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한 광주·전남행동’을 구성해야 한다”며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운운하며 전력이 부족하다는 국민 불안을 부추겨 원전 재가동을 서둘러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13일 “영광원전 6기 중 3기가 가동 중지된 것은 심각한 사태”라며 △재난 때 주민대피로 확보 △주민이주 협의체 구성 △국가방사선안전과학원 설립 △도민 추천 전문가 30% 이상 참여한 합동조사단 구성 등을 요구했다.
특히 비상계획구역 안에 있는 영광 법성면~홍농읍 성산리 9.5㎞의 2차로를 650억원을 들여 4차로로 신설해 재난이 발생하면 대피로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원전 10㎞ 안에 사는 주민(영광·고창 1만8500여명)의 불안감이 높아져 개별적으로 이주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이주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이호경 전남도 행정지원국장은 “영광에 6기과 중국에 16기 등 서남권에 원전 22기가 가동중이어서 위협요인이 상존하고 있다. 5770억원을 들여 방사선의 안전과 이용을 아우르는 국가방사선안전과학원을 설립하도록 정부와 국회를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홍어X’ 욕먹는 수컷 참홍어, 생식기 2개로 처절한 사랑
■ 이시형 “대통령 방 컴퓨터로 ‘차용증’ 작성했다”
■ “박근혜 후보, ‘김재철 퇴진’ 약속해놓고 일방 파기”
■ “더 수사할 게 없다”던 검찰 부실수사 드러나…“참담하다” 한탄
■ 김윤옥씨 “아들 장래 생각해 아들 명의로…”
■ ‘처월드’ 때문에 이혼하고 싶어요
■ [화보] 책임져야 사랑이다
■ ‘홍어X’ 욕먹는 수컷 참홍어, 생식기 2개로 처절한 사랑
■ 이시형 “대통령 방 컴퓨터로 ‘차용증’ 작성했다”
■ “박근혜 후보, ‘김재철 퇴진’ 약속해놓고 일방 파기”
■ “더 수사할 게 없다”던 검찰 부실수사 드러나…“참담하다” 한탄
■ 김윤옥씨 “아들 장래 생각해 아들 명의로…”
■ ‘처월드’ 때문에 이혼하고 싶어요
■ [화보] 책임져야 사랑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