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2018년까지 1단계 28.6㎞ 조성
노선·건설방식 놓고 논란일듯
2018년까지 1단계 28.6㎞ 조성
노선·건설방식 놓고 논란일듯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이 궤도에 올랐다. 대전시와 기획재정부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 건설공사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22일 밝혔다. 대전시는 2018년까지 2호선 1단계인 진잠~유성네거리 구간(28.6㎞)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분석 결과를 보면, 경제성을 나타내는 비용대비 편익(B/C) 분석은 0.91이었다. 비용대비 편익 비율이 ‘1’ 이하면 경제성이 떨어져 사업 추진이 어렵지만, 종합평점이 기준치인 0.5를 넘어서 대전도시철도 2호선 계획은 건설이 타당한 것으로 결론났다고 시는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는 2018년까지 총사업비 1조3617억원(국비 8170억원)을 들여 진잠~서대전4~대동5~동부4~오정동~정부청사~유성네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순환형 도시철도 공사를 추진하게 됐다. 건설 방식은 ‘지상고가 자기부상열차’이다.
2호선 1단계 구간에는 진잠~유성네거리(1호선 환승역) 등 모두 22개 역사가 설치된다.
윤기호 시 도시철도기획단장은 “2호선 1단계 노선이 개통되면 대전은 동서 지역을 잇는 도시철도 1호선 및 시내버스와 대중교통 환승 체계를 갖추게 된다. 2호선 2단계(유성네거리~진잠, 7㎞)는 도안신도시 2·3단계 개발 여건을 감안해 착공 시기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2호선 노선과 건설 방식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대전 대덕구는 ‘2호선 예타 통과에 즈음한 입장’을 발표하고 “1호선 노선에서 빠져 있는 대덕구에 2호선마저 일부 구간만 통과하면 교통 소외지역이 돼 낙후될 수밖에 없다. 노선계획을 대순환형(신탄진·유성북부)이나 소순환형(회덕·전민동) 등으로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도 “적은 비용으로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면 더 다양한 간선축 중심으로 노선을 계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건설 방식은 현재 지상에 고가를 건설하고 자기부상열차를 운행하는 방식이지만 노면 전철이나 지하 5~7m로 전철이 운행하는 저심도공법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노선은 변경할 경우 예비타당성 조사를 다시 받아야 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문재인-안철수 TV토론 누가 이겼나 보니…
■ 파워트위터가 본 문·안 토론 “이렇게 점잖은 토론은 처음 본다”
■ 문·안 ‘단일화 TV토론’ 못봤다면…토론 전문보면 되고
■ 봉중근, 어깨 부상으로 WBC 불참
■ 히잡 벗고 ‘반란’…시리아 여성인권 논쟁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 문재인-안철수 TV토론 누가 이겼나 보니…
■ 파워트위터가 본 문·안 토론 “이렇게 점잖은 토론은 처음 본다”
■ 문·안 ‘단일화 TV토론’ 못봤다면…토론 전문보면 되고
■ 봉중근, 어깨 부상으로 WBC 불참
■ 히잡 벗고 ‘반란’…시리아 여성인권 논쟁
■ 큰스님도 카사노바도 즐기던 ‘통영의 맛’
■ [화보]안후보님, 뭐라고요? 궁금한 표정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