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년 만에 첫 ‘트라우마’ 실태조사
유족 150명 면접…우울증 등 심각
“전쟁 피해자와 유사” 특별법 추진
유족 150명 면접…우울증 등 심각
“전쟁 피해자와 유사” 특별법 추진
여순사건의 피해 유족들이 사건 이후 64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불안과 우울, 공포 등을 느끼고 있어 트라우마 치유가 절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은 1948년 사건 발생 이후 처음으로 여순사건 유족의 트라우마 실태를 조사해 치유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조사는 지난 7~9월 70~80대인 여순사건 유족 15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과 그룹 면접을 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결과는 21일 여수해양항만청 대회의실에서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과 트라우마 치유의 모색’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학술심포지엄을 통해 발표된다.
조사를 맡은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은 78개 문항으로 구성된 외상후 스트레스 척도, 자살생각 척도, 우울증 자가 척도, 불안증 자가 척도 등 4가지 측정도구로 유족들의 정신건강을 진단했다. 이 진단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척도(PSS)의 점수는 평균 35.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통 유년시절 승강기에 갇혔을 때 느끼는 정도가 15 안팎이기 때문에 매우 높은 수치로 평가된다.
우울증 자가 척도(BDI)는 32.8, 불안증 자가 척도(BAI)는 31.1로 우울과 불안을 심각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살생각 척도(SSI)는 17.9로 일반인과 유사했다.
이영문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장은 “유족의 트라우마는 전쟁이나 학살 같은 극한 상황을 겪은 사람들과 유사했다. 하지만 유족들은 보상도 없고 낙인이 찍힐까봐 피해를 숨기고 있다”며 “피해자들이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치유센터를 서둘러 설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일 여수지역사회연구소장은 “5·18항쟁과 4·3사건과 달리 여순사건은 피해자가 1만여명에 이르는데도 잊혀져 있다”며 “64년 전 사건의 정신적 외상을 진단해 특별법 제정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을 토대로 김성곤 국회의원은 내년 6월 안에 ‘여수·순천 10·19사건 특별법’ 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법안에는 4·3특별법처럼 진실화해위 조사 결과 승계와 재조사, 미신청자 추가조사, 추모위령사업 등을 담을 예정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높은 투표율의 역설…박근혜의 승리 요인
■ [곽병찬 칼럼] 박 당선인이 갈 길, ‘사람이 먼저다’
■ 안철수 독자세력화 ‘새 그림’ 가능성
■ 10·26뒤 영욕의 세월…위기의 당 2번 살리며 대통령 되다
■ 경기·인천서 승전보…TK 몰표…충남·북서 추격 따돌려
■ 여수 금고 털이범 검거…단독범행 시인
■ 비린 첫맛 쫀득 고소한 뒷맛…이 맛에 중독되네
■ 높은 투표율의 역설…박근혜의 승리 요인
■ [곽병찬 칼럼] 박 당선인이 갈 길, ‘사람이 먼저다’
■ 안철수 독자세력화 ‘새 그림’ 가능성
■ 10·26뒤 영욕의 세월…위기의 당 2번 살리며 대통령 되다
■ 경기·인천서 승전보…TK 몰표…충남·북서 추격 따돌려
■ 여수 금고 털이범 검거…단독범행 시인
■ 비린 첫맛 쫀득 고소한 뒷맛…이 맛에 중독되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