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정부서 강행 땐 반대운동”
국토부 “의견수렴뒤 여부 결정”
국토부 “의견수렴뒤 여부 결정”
충남 청양군이 국토해양부의 지천댐 건설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청양군민도 반대운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석화 청양군수는 20일 군청 상황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부가 지난해 12월28일 발표한 청양 지천댐 건설계획은 청양군민의 뜻과 무관한 것으로 유감이다. 지천은 영원히 흘러야 한다”고 밝혀 사실상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 군수는 “지천댐은 충남의 서부권 수자원 확보와 홍수 예방을 목적으로 1990년 초와 2001년 두차례 건설계획이 발표됐지만 청양군민들의 강력한 반대로 보류됐다. 지천댐 건설은 청양지역 대도약을 위한 군민들의 노력과도 배치되는 등 지역 발전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청양군이 지천댐 건설에 반대하는 것은 건설 예정지가 하류인 장평면 화산리 일대로, 청양읍과 대치면, 남양면 등 상류지역의 환경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데 따른 것이다. 군은 그동안 ‘자연과 함께하는 살기 좋은 청양’을 주제 삼아 귀농·귀촌사업 등을 펼치고 있는데 댐 건설로 환경이 훼손되면 군정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청양시민연대 등 시민단체와 군민들은 지천댐 건설 목적이 수자원 확보 및 홍수 예방인데 청양은 물 부족이나 홍수에 따른 피해가 없다며 댐 건설에 반대했다. 이들은 청양의 자랑거리인 천혜의 자연환경이 파괴돼 지역공동체가 흔들릴 수 있어 공사가 가시화되면 반대운동을 펼치겠다고 주장했다.
김명숙 군의원은 “지천은 칠갑산 등에서 발원해 청양읍을 휘돌아 하류로 흐른다. 충남 서부권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청양을 희생시키는 것은 잘못이다. 군의회 차원에서 댐 건설의 부당성을 입증하는 조사를 진행하도록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와 수자원공사 쪽은 “댐 건설 계획은 10년 단위로 발표하는 것이며 현재 지천댐의 건설 진행사항은 없다. 2014년 이후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댐 건설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청양군에 알려왔다.
한편 국토부가 지난해 밝힌 댐 건설계획을 보면, 지천댐의 총저수량은 2100만㎥(칠갑호 4배 규모)로, 2001년 발표 당시 총저수량 9400만㎥에 비해 규모가 크게 줄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종훈 ‘CIA 이력’ 일파만파…“한-미 모두 불편한 상황” 지적
■ 어이상실 국정원, ‘불법 정치관여 고발’을 ‘정치관여’로 몰아
■ 쓰나미에 주인 떠나보낸 휴대전화…2년만에 가족 품으로
■ 손톱 뽑고 매질하고…가출여고생 성매매 내몬 ‘20대 커플’
■ “헤어지자”고 했다고…여자친구 아버지 살해한 고교생
■ 김종훈 ‘CIA 이력’ 일파만파…“한-미 모두 불편한 상황” 지적
■ 어이상실 국정원, ‘불법 정치관여 고발’을 ‘정치관여’로 몰아
■ 쓰나미에 주인 떠나보낸 휴대전화…2년만에 가족 품으로
■ 손톱 뽑고 매질하고…가출여고생 성매매 내몬 ‘20대 커플’
■ “헤어지자”고 했다고…여자친구 아버지 살해한 고교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