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까지 93명 늘리기로
민간관리사도 동사무소 배치
1인당 업무량 기준으로 조정
민간관리사도 동사무소 배치
1인당 업무량 기준으로 조정
대전시가 사회복지 업무 분장 기준을 전면 개편해 공무원들의 ‘과로’를 덜고 업무 효율을 높인다.
시는 내년 3월까지 처리업무를 기준으로 인력을 재배치하고, 일선 담당자를 충원하는 것을 뼈대로 한 ‘사회복지 공무원 근무환경 개선안’을 8일 발표했다. 올해 들어 전국에서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 3명이 과로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자 대책 마련에 나선 지 두달여 만이다.
개선안의 주요 내용은 △사회복지 공무원 확충 △주민센터의 복지기능 강화 △사회복지 공무원 사기진작 방안 △복지담당 공무원의 근무여건 개선 등이다. 이 가운데 두드러진 변화는 인력 배치 기준의 변화다. 사회복지 공무원을 수급자 수가 많은 동에 집중 배치하던 방식에서 1인당 처리 업무량 기준으로 재배치한다. 시 복지정책과는 “예전에는 수급 대상자 수가 많을수록 업무량도 많았으나 최근 2~3년 사이 보육, 학비, 주택, 의료 등 사회복지 업무가 확대되면서 업무량이 급증해 이런 대책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는 내년 3월까지 시 사회복지 공무원을 현재 391명(휴직·병가 등 미근무자 41명 포함)에서 93명이 늘어난 484명으로 증원해 1명이 근무하는 동사무소 22곳의 사회복지 담당 인력을 2명으로 늘린다. 이를 위해 시는 54명을 새로 채용하고, 39명은 행정직 등에서 전환할 방침이다.
현재 77개 법정 동 가운데 임대아파트 단지가 있는 판암 2동은 7명, 수급 대상자가 적은 동구 대청동에는 1명이 배치돼 관련 업무를 처리해 왔다.
또 복지만두레 소속 민간사례관리사 61명 등 71명을 일선 동사무소에 배치해 동사무소 사회복지 공무원의 업무 부담을 덜어 주기로 했다. 사례관리사 가운데 36명은 대전형 사회복지 공공모델 시범 자치단체인 중구지역에 배치된다.
시는 이밖에도 업무우수자 근무평정 가점, 승진심사 우대, 희망부서 우선 배치, 수당 인상, 힐링프로그램 시행 등 사회복지 공무원들의 사기를 높이는 방안도 시행하기로 했다.
김정태 시 복지정책 담당은 “내년 하반기에는 사회복지 공무원들의 업무가 노령연금과 고용 분야까지 확대될 예정이어서 과중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려고 이번 대책을 마련했다. 사회복지 업무를 맡고 있는 공무원들이 소외 계층을 돌보며 보람을 되찾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진주의료원 노조 “귀족노조로 매도한 홍준표 고소”
■ 아침식사 들쑥날쑥 복부지방 차곡차곡
■ 고기의 ○○이 심장병 부른다?
■ 서울 토박이, 올레 걷다 제주도에 눌러살다
■ MS “1년뒤 윈도XP 지원 전면 중단”
■ 진주의료원 노조 “귀족노조로 매도한 홍준표 고소”
■ 아침식사 들쑥날쑥 복부지방 차곡차곡
■ 고기의 ○○이 심장병 부른다?
■ 서울 토박이, 올레 걷다 제주도에 눌러살다
■ MS “1년뒤 윈도XP 지원 전면 중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