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미래부 공문받고 협상채비
시민단체 “과학벨트 축소용 꼼수”
시 “과학벨트 유지·국고부담 전제”
시민단체 “과학벨트 축소용 꼼수”
시 “과학벨트 유지·국고부담 전제”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을 설치하자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제안이 대전의 현안으로 떠올랐다. 대전시는 정부와 협상해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태도다. 반면 시민단체와 민주당 등은 ‘과학벨트(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건설비용 떠넘기기, 과학벨트 축소 꼼수’라며 반대해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8일 대전시에 보낸 공문에서 “대덕특구를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재창조하기 위해 엑스포과학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과 과학체험 및 전시공간 등 창조경제 핵심시설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10일 대전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미래창조과학부와 협상하겠다는 태도를 밝혔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오전 실·국장과의 주간업무회의를 열어 “미래창조과학부의 제안에 대해 시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널리 수렴해 대전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찾으라”고 지시했다. 염 시장은 “미래창조과학부는 제안을 구체화해 창조경제 핵심시설에 대한 용도와 규모, 예산 등을 밝혀야 한다. 구체화한 안에는 시의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방안도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고시된 신동·둔곡지구 과학벨트 343만㎡(약 104만평)를 유지하고, 과학벨트 예정지 매입비용을 모두 국고로 부담하는 걸 전제로 협상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시 과학문화산업본부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제안에 대한 검토에 나섰다. 시 과학본부는 기초과학연구원 규모가 25만㎡로, 땅값만 1200억원대에 달해 땅값 이상의 과학 생태계를 대전에 조성하는 방안이 협상의 뼈대를 이룰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본부 관계자는 “엑스포과학공원은 전체 부지 56만㎡ 가운데 가용 부지가 33만㎡에 불과해 연구원이 입주한다면 엑스포 재창조 계획에 따라 추진해온 롯데 테마파크(24만㎡) 건설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시민단체와 민주당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제안을 ‘과학벨트 축소 꼼수’라며 비난했다.
대전참여연대는 9일 성명을 내어 “엑스포과학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이 입주하면 과학벨트의 기능과 역할이 축소되는 것이며,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를 현금 대신 현물로 분담하라는 요구나 다름없다.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가치와 비전마저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상민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도 “기초연구원의 엑스포공원 입주는 과학벨트의 비전과 핵심 가치 상실은 물론 규모도 대폭 줄어들어 대전시의 발전을 가로막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고 반대 뜻을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두환 추징금 1672억 안내면 1672년 수감을”
■ 연 6.7%로 5000만원 대출? 직접 캐피탈사에 물어보니…
■ 공중전 최강 ‘유로파이터’냐, 스텔스 무장 ‘F-35A’냐
■ 청와대, 북 수석대표로 "김양건 나와야"
■ [화보] 기억하라! 그날의 외침을 6·10항쟁 26돌
■ “전두환 추징금 1672억 안내면 1672년 수감을”
■ 연 6.7%로 5000만원 대출? 직접 캐피탈사에 물어보니…
■ 공중전 최강 ‘유로파이터’냐, 스텔스 무장 ‘F-35A’냐
■ 청와대, 북 수석대표로 "김양건 나와야"
■ [화보] 기억하라! 그날의 외침을 6·10항쟁 26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