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서울 뺀 16곳과 호환 추진
이르면 연말부터 교통카드 한장으로 전국의 철도·버스·지하철·도로 이용이 가능해진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올해 연말까지 교통카드 전국 호환을 목표로 광역자치단체 17곳 중 서울을 뺀 16곳과 단계적으로 협약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다음달 3일 서울 63빌딩에서 강원,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제주 등 광역단체 8곳과 교통카드 전국 호환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다. 이 협약에선 카드 한장으로 모든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무료 표준기술이 시연될 예정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6월엔 경기, 7월엔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등지와도 같은 협약을 했다. 이 사업은 2007년 교통카드 사용자가 늘었지만 지역·수단·업체에 따라 요금을 별도로 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른다는 여론에 따라 추진됐다.
안석환 국토부 도시광역교통과장은 “2008년 3월 개정된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사업을 추진중이다. 연말까지 97억여원을 들여 교통카드가 전국에서 호환되게 하겠다. 교통수단을 두루 이용하려면 기존에는 적어도 석장이 필요했는데 앞으론 한장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표준기술을 적용해 출시되는 선불 교통카드인 레일플러스(코레일), 한페이(광주), 하이플러스(고속도로), 캐시비(경기), 원패스(대구) 등은 전국에서 어떤 교통수단이든 이용할 수 있다. 단지 교통카드가 도입되지 않은 강원의 화천·인제, 전남의 구례·강진 등지 시·군 19곳은 서비스에서 빠진다. 이밖에도 전국에서 발행된 교통카드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울시 교통카드(티머니) 쪽에서 서울 카드로도 전국 호환을 가능하게 만들어 매몰비용을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어 막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