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확정…대전시 환영
충청권 자치단체들 큰 반발
“축소안…원안대로 건설을”
충청권 자치단체들 큰 반발
“축소안…원안대로 건설을”
미래창조과학부가 기초과학연구원(IBS)을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에 설치하고 애초 예정지인 대전 둔곡지구를 산업용지로 바꾸는 것을 뼈대로 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 변경안’을 확정했다. 충북도 등 주변 자치단체와 충청권 시민사회단체는 원안 건설을 거듭 촉구했다.
미래부는 최근 ‘제3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열어 과학벨트 기본계획 변경안을 심의·확정했다. 변경안을 보면 과학벨트 기본계획 가운데 기초과학연구원 입지를 엑스포과학공원으로 변경하고 애초 입지 예정지인 둔곡지구 48만여㎡ 가운데 33만여㎡는 산업시설용지, 15만여㎡는 주택용지로 용도 변경한다. 산업시설용지에는 첨단 제조시설 및 중이온가속기 관련 연구개발 시설을 유치할 예정이다.
엑스포과학공원(도룡지구, 전체 규모 59만5999㎡) 한가운데에 기초과학연구원(26만㎡)이 들어서고, 한빛탑이 있는 오른쪽에 엑스포기념구역, 왼쪽에 고화질 드라마타운·사이언스센터 등이 들어서게 된다. 올해 말 공사에 들어가 2016년 완공할 예정이다.
변경안에는 중이온가속기 부지 매입비의 국가예산 지원이 추가됐으며, 중이온가속기 등이 들어서는 신동지구는 내년 상반기부터 토지 보상에 들어가 부지 조성이 시작될 전망이다.
변경안이 확정되자 대전시는 지지부진하던 과학벨트 조성사업 추진이 정상화됐다고 환영했다. 그러나 민주당과 대전 주변 자치단체, 충청권 시민사회단체는 일제히 ‘과학벨트 수정안은 과학벨트 축소’라며 원안 건설을 거듭 주장했다.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2일 “미래창조과학부가 확정한 과학벨트 수정안은 과학벨트를 축소하고 기능지구를 빈껍데기로 만드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는 새누리당 염홍철 대전시장과 야합하고, 공청회도 기본계획 변경을 의결한 뒤 열어 충청인을 기만했다”고 밝혔다. 충북·충남·세종 등 충청권 자치단체들도 “과학벨트의 거점지구인 둔곡지구가 산업시설용지로 변경되면 충북 청원, 세종시, 충남 천안 등 기능지구가 약화될 것이다. 정부는 과학벨트를 원안대로 건설하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대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이광진 사무처장은 “3일 충청권 시민사회단체들이 연대회의를 열어 앞으로 대응 방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과학벨트는 국가 기초과학 분야의 체질을 개선하는 정책사업인데 미래부와 대전시가 일방적으로 수정안을 추진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