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하굿둑을 일부 개방해 바닷물이 드나들게 함으로써 생태계를 복원하고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움직임이 충남도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충남 서천군은 금강하굿둑 해수 유통의 정당성을 도민에게 널리 알리고 정부에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4일부터 도내 시·군 순회강연회를 시작했다고 5일 밝혔다. 4일 서산시에 이어 다음달 초 아산시·청양군·부여군 등 11월 중순까지 15개 시·군을 아우른다는 계획이다. 순회강연회에 맞춰 사진전과 홍보물을 통해 금강 하구의 현실을 도민에게 알리고 15만명을 목표로 한 서명운동도 벌이기로 했다. 앞서 충남도 시·군의회 의장협의회는 지난달 30일 결의문을 내어 “생태계 복원과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부분 해수 유통을 끊임없이 건의했지만 정부가 이를 외면하고 있다”며 책임있는 조사와 연구, 환경복원 대책을 촉구했다.
다음달에는 서천군을 비롯해 15개 시·군, 푸른서천21, 각 단체와 희망 주민을 모아 ‘금강하구 해수 유통 추진단’을 꾸릴 예정이다. 전국 공모를 거쳐 희망자와 전문가들이 모여 하굿둑에서 공주보에 이르는 97㎞ 길을 동행하며 해수 유통의 당위성을 알리는 도보순례도 계획돼 있다.
충남에서는 하굿둑 개방이 당면 과제가 됐다. 1990년 금강하굿둑이 만들어져 물길이 가로막힌 뒤 주변 어민들의 경제적 피해는 6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하구 수질이 농업용수로 사용 가능한 마지막 단계인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 기준 4등급으로 추락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북 군산시와 한국농어촌공사는 바닷물이 강물과 섞이면 농업용수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하굿둑 개방을 끊임없이 반대하고 있다.
4일 열린 금강하굿둑 해수 유통 관철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해수 유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거듭 확인됐다. 올해 4~8월 금강하구 해수 유통에 따른 염분 확산 용역연구를 맡아 한 지오시스템리서치 김태인 박사는 “부분 해수 유통 때 갑문을 조절해 해수 유입량과 시간을 제한하면 염분 확산 거리를 5㎞까지 조절할 수 있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전승수 전남대 교수(지구환경과학부)는 예측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수 공급량과 시간을 최적화해 바닷물과 강물이 섞이는 기수역 범위를 결정하는 한편 하구-섬-갯벌을 연계한 생태관광 프로그램, 기수역 생태계 복원 등을 제안했다.
이정성 서천군 어메니티기획 담당은 “하굿둑을 개방해 바닷물이 드나들게 되면 황복·민물장어 등 고급 어종이 다시 금강을 찾게 돼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고 파괴된 생태계 복원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