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17곳 중 7곳 시민대출 안돼
시민단체 “전면 개방·공공성 강화를”
시민단체 “전면 개방·공공성 강화를”
대부분 폐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공사립 대학 도서관들의 문턱을 낮춰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9일 광주지역 대학 17곳을 대상으로 시민의 대학 도서관 이용 실태를 조사해 발표했다. 이 단체는 지난달 25일부터 이들 대학 도서관의 이용증 발급 절차와 시민 대출·열람 제도 등을 묻는 정보공개를 청구해 자료를 모았다.
조사 결과, 대학 17곳 가운데 9곳은 시민의 도서 대출과 열람이 모두 가능했지만, 1곳은 대출만 됐다. 광주과학기술원 등 7곳은 대출조차 허용되지 않았다. 전남대·조선대 등은 7~15일 동안 3~5권을 대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특히 조선대는 이용증 발급 대상을 공무원, 공사·공단 직원, 성직자, 언론인 등으로 제한하는 등 차별을 뒀다.
시민모임은 “대학의 도서관은 국가와 지역사회로부터 유·무형의 지원을 받고 있는 만큼 공공성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최근 충남 아산시와 선문대·순천향대·호서대 등 지역 대학 3곳이 도서관 전면 개방을 약속하는 협약을 맺었다고 소개했다.
시민모임은 16일부터 시민의 도서관 이용에 제한을 두고 있는 대학들을 돌아가며 1인시위와 홍보활동을 펼치는 ‘대학 도서관 전면 개방을 위한 수요행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시민모임 대표일꾼 박고형준씨는 “대학에 운동하러 가는 사람은 많아도 공부하러 가는 사람은 드문 것이 현실이다. 대학이 빗장을 풀고 도서관을 지역사회와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