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연기 주민들이 지난 20일 서울역 광장에서 서울시민과 철도 이용객들에게 행정수도를 건설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홍보물을 나눠주고 있다.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범충청권협의회 “국회 특위안 원칙 벗어나”
시민단체, 전국서 토론회…지지여론 확산 나서 국회 신행정수도 특별위원회가 정부와 열린우리당의 ‘행정중심도시 안’과 한나라당의 ‘다기능복합도시 안’을 절충하는 선으로 새 행정수도 대안을 좁혀 가자 충청권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충청권 국회의원 24명은 24일 국회에서 밝힌 결의문에서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은 헌법재판소 결정의 취지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책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은 여·야 합의대로 다음달 안으로 특별법 형태로 제정돼야 한다”며 "한나라당은 곧 당론을 밝히고, 정부는 올해 안에 연기·공주지역 토지매입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신행정수도 범충청권협의회는 이날 “국회 특위의 대안은 지방 분권, 국토균형발전, 수도권 문제 해소 등 원칙에서 벗어나 당리당략에 따른 정치권의 합의일 뿐 국민의 합의는 아니다”며 “27일 서울 대학로에서 2만명이 참여하는 ‘행정수도 원안 추진 촉구’집회를 열고 행정특별시 관련 특별법 제정 촉구 활동 등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후 청주시의회에서 열린 새 행정수도 후속대책 관련 충북도민 토론회에서 송재봉 행정수도 충북도민연대 상임집행위원장은 “청와대를 뺀 모든 중앙행정기관이 이전하는 ‘행정특별시 안’ 이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정치권의 행정수도 안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대전참여연대도 성명을 내어 “정부·여당의 행정중심도시 안은 행정수도 건설의 원칙에 어긋나고 새 행정수도 지속 추진 의지도 없다”며 “한나라당의 ‘다기능복합도시’안은 이전 부처 규모 등이 불확실하고 착공 시점이 대선과 총선 이후인 2008년이어서 사업 포기 가능성도 커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지방분권국민운동은 이날 광주에서 교수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호남권 토론회를 열어 행정수도 대안,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정책 등 행정수도 건설 필요성에 대한 국민 지지여론 확산에 나섰다. 이들은 26일 수원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 31일 마산에서 각각 수도권과 영남권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심대평 충남도지사와 충남지역 16개 시장·군수와 기초·광역의회 의장단, 시민사회단체 회원 등 1천여 명은 이날 연기군 문예회관에서 ‘새 행정수도 전국홍보단 발대식’을 열었다. 전국홍보단은 3월초까지 시·군별로 30~40명 규모의 홍보단을 꾸려 전국을 돌며 행정수도 건설 이유 등을 홍보하고, 1천여 명의 인터넷 홍보단은 사이버 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심 지사는 “행정수도 이전은 40년 전부터 서울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었으며, 충청도민은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국가 균형발전 등을 위해 이를 수용했던 것”이라며 “정부는 약속한 대로 올해 연기·공주지역의 땅을 매입하고 행정수도 지속 추진의지를 밝혀 미래 국가 발전의 초석을 놓고 국민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청주/송인걸·오윤주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