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자원회사서 광맥 탐사 벌여
시민 “대도시서 건강위협” 중단 요구
시민 “대도시서 건강위협” 중단 요구
대전에서 우라늄 광산 개발이 추진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역 환경·시민단체, 정치권은 150만여명이 사는 대도시에서 암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우라늄 광산의 개발은 있을 수 없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대전 동구는 오스트레일리아 자원개발회사 ㈜스톤헨지코리아가 지난 3~7월 동구 상소동 임야 4315㎡에서 바나듐 광맥을 찾는 탐사를 했다고 26일 밝혔다. 바나듐은 우라늄 원석을 정제해 얻는 광물질로, 바나듐 탐사는 우라늄 채굴을 위한 것이다. 스톤헨지코리아는 3월 굴착 신고를 한 뒤 상소동 일대에서 구멍 5개를 뚫고 시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사는 채취한 시료를 오스트레일리아 본사로 보내 품위(광물 속 우라늄 함유율) 및 경제성을 가리는 분석을 하고 있다.
스톤헨지코리아 관계자는 “분석이 끝나면 본사에서 경제성 여부 및 광산 개발 등 향후 일정에 대해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 회사는 ㅊ사로부터 2028년까지 설정된 상소동 광업권을 사들였으며, 지난해 8월 ‘한국이 사용하는 우라늄의 25%를 충당할 수 있는 자원이 매장돼 있다. 개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회사는 상소동에 앞서 지난해 금산군 복수·추부지역을 탐사하려다 금산군의 반려로 탐사하지 못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등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등의 우라늄 광산 지역에서 암, 백혈병, 유산, 기형아 출산 등 피해가 잇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0만명이 사는 대도시에 우라늄 광산이 개발된 경우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다”며 반대했다. 상소동은 대전역에서 금산 쪽으로 10㎞ 거리에 있고 금산군과 경계지역이다. 이들 단체는 “충청권 지방자치단체들은 우라늄 광산 개발 시도에 공동으로 대응해 원천 봉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과 새누리당 대전시당도 성명을 내어 우라늄 광산 개발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대전 동구 공원녹지과 김태길 계장은 “스톤헨지의 탐사가 우라늄 광산 개발을 위한 것인지 몰랐다. 채굴 허가가 접수되면 대전시와 협의해 불허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정부 조사에서 충북 괴산-옥천-충남 금산-대전 퇴적층의 품위는 0.35~0.37% 수준이었으며, 일반적인 경제성 기준 품위는 채굴의 경우 3.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