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일방추진 조례 지난달 입법예고
자연습지·인공정원 통합관리 추진
시민단체 3명, 생태위원 위촉 거부
“환경 악영향…무인궤도차 특혜용”
자연습지·인공정원 통합관리 추진
시민단체 3명, 생태위원 위촉 거부
“환경 악영향…무인궤도차 특혜용”
전남 순천시가 시민단체가 주민발의한 조례안을 두고도 일방적으로 순천만 조례안 두 건을 추진하다 반발에 부닥쳤다.
순천지역 30여개 단체로 짜인 ‘순천만지키기 시민회의’는 22일 “순천시가 구성한 순천만자연생태위원회의 위원 중 시민단체 소속 3명은 두 건의 조례안을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데 항의해 위촉을 거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체 위원 35명 중 거부 의사를 밝힌 위원은 장채열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 소장, 허형팔 순천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 서은하 순천와이엠시에이 이사 등이다. 시민회의는 “시가 지난해 주민 9300명의 발의로 시의회에 제출한 ‘순천만 주변지역 지원조례안’을 방치한 채 불통행정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 17일 ‘순천만자연생태공원 및 순천만정원 운영조례안’을, 지난 3일 ‘순천만습지보전 및 관리조례안’ 등을 잇따라 입법예고했다.
비판의 초점은 자연습지인 순천만과 인공정원인 순천만정원(정원박람회장)을 통합관리하겠다는 지난달 17일의 조례안에 맞춰지고 있다. 이 조례안은 현행 일반 2000원인 순천만 입장료를 순천만과 박람회장 등 두 곳을 통합해 일반 5000원으로 올리는 것을 비롯해 두 곳을 통합관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시민회의는 “통합관리의 궁극적인 목적인 민자 680억원을 들여 두 지역을 연결한 무인궤도차량의 운영수익을 늘려주려는 것”이라며 “통합입장료도 궤도차량의 탑승객을 늘리려는 꼼수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허형만 순천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자연습지와 인공정원인 두 곳은 개념부터가 전혀 다르다. 박람회장을 보러 오는 관광객을 순천만으로 끌어들이는 관리는 생태보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지금도 한해 200만명 수준인 순천만 관람객을 줄여야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순천시의회 일부 의원들도 시가 순천만 생태보전과 지역주민 지원을 외면한 채 지나치게 경제성과 효율성만 강조하고 있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하지만 시는 이날 순천만의 개발과 보전을 위한 주요 안건을 심의하는 순천만자연생태위원회 위원을 위촉했고, 두 조례안을 2월 중순 열릴 예정인 순천시의회에 상정할 계획이다. 시 쪽은 “두 곳에서 징수하는 입장료를 한 곳으로 단일화해 관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4월20일 첫 개장할 ‘순천만정원’을 이른 시일 안에 활성화하기 위한 조처”라고 배경을 밝혔다. 시는 조례안 추진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민단체와 대화를 진행할 예정이며, 일부에서 우려하는 문제에 대해 보완할 방침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