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째 양쪽 갈등 격화
노조쪽 파업투표 95% 찬성
노조쪽 파업투표 95% 찬성
목포시립교향악단(목포시향)의 정리해고를 둘러싸고 벌어진 목포시와 노조 사이의 대립이 날카로워지고 있다. 목포시는 정리해고를 강행하겠다고 밝혔고, 노조 쪽은 파업까지 불사하겠다며 맞서고 있다.
목포시는 18일 “목포시향 운영예산이 지난해 20%, 올해 40% 잇따라 깎여 단원 65명 중 40%인 25명을 해고하지 않으면 7월부터 임금체불이 발생한다”며 “애초 방침대로 25일까지 해고자 명단을 통보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평정·근태·경력 등을 기준으로 해고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명단을 노조에 통보하는 날짜에 해고 예고가 되는 만큼 한달 유예기간이 지나면 해고가 이뤄진다. 김천환 시 문화예술과장은 “상반기에 운영비가 바닥나면 시향이 해산 위기로 내몰릴 수도 있다. 불가피하게 단원을 해고해도 추경예산이 확보되면 우선 고용하고, 예산이 증액되지 않으면 비상임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공운수노조 광주전남지부 목포시립예술단지회는 17일 올해 임단협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벌여 참가자 57명 중 94.7%인 54명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노조는 “정리해고와 고용불안은 당연히 파업의 이유가 될 수 있다. 해고를 강행하면 파업으로 맞설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노조는 지난해 말 정리해고 방침을 통보받은 뒤 한달 넘게 목포시청 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고 교회·단체 등을 찾아가 거리공연을 펼치는 방법으로 홍보활동을 펼쳐왔다. 또 20일 오후 4시 목포시청 앞에서 예술·노동·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어 부당한 정리해고를 철회하라고 촉구하기로 했다. 김범규 목포시립예술단지회 사무국장은 “정리해고는 목포시향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조처로 예향 목포의 부끄러운 역사로 남을 것”이라며 “행정이 져야 할 예산 삭감의 책임을 단원들한테 떠넘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목포시향의 정리해고 사태는 지난해 10월 설립된 노조 쪽에서 지휘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단무장의 횡령 의혹 등을 제기하면서 촉발됐다. 목포시립 예술단체 6곳의 단원 122명 중 65명이 가입한 노조는 시민의 것인 예술단체를 몇몇 관리자들이 사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정상화를 촉구해왔다. 이런 과정에서 시는 올해 시향 예산이 애초 13억7596만원에서 8억2596만원으로 40% 삭감되자 정리해고 방침을 전격적으로 내놓았다. 이를 두고 노조는 조합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탄압이며, 행정 잘못을 무마하려는 술수라고 주장하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