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금산 행정리 67% ‘고령마을’
“지속적 모니터링…맞춤형 관리를”
“지속적 모니터링…맞춤형 관리를”
노인이 늘고 주민 수는 줄어드는 농산어촌 마을을 되살릴 수 있는 정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영재 충남발전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장은 충남 금산군의 행정리 254곳 모두를 조사한 결과 65살 이상 노인이 전체 주민의 절반을 넘는 ‘고령마을’이 171곳(67.3%)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금산군 행정리 가운데 인구가 50명 이하인 ‘과소마을’은 23곳(9.1%)이었으며, 고령 인구가 절반 이하이면서 인구 또한 50명을 넘는 곳은 75곳(29.5%)에 그쳤다. 실제 거주 인구가 10명 안팎인 곳도 적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4~8월 마을 이장들을 대상으로 했으며, 충남발전연구원 간행물 ‘충남리포트’ 101호에 실렸다.
조 연구부장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990년대 초반 일본에서 나온 ‘한계마을’ 개념을 받아들여 마을 살리기 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계마을은 고령화·과소화 탓에 주민들의 생활·생산 기능 등 마을을 꾸려나가는 데 한계에 이른 마을을 가리킨다. 한계마을은 소농 위주인데다 농업 말고는 소득이 거의 없고, 방치된 토지가 많으며 기반시설이나 교통이 열악하다. 이 때문에 마을을 이끌어갈 수 있는 이가 없고 주민 공동체 또한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
인구와 경제기반, 새 공동체가 유지되는지에 따라 존속마을, 준한계마을, 한계마을로 나눠 각각에 맞는 정책을 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또 정책 방향을 재생·재편·소멸로 구분해 마을 상황에 맞게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연구부장은 “우리나라 상당수 농촌마을이 한계마을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마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