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공군과 후보지 잠정 결정
국방부 승인·환경부 예산 확보 남아
2016년 착공·2017년 이전완료 예정
국방부 승인·환경부 예산 확보 남아
2016년 착공·2017년 이전완료 예정
국립공원 무등산 정상에 있는 방공포대 이전이 가시화하고 있다.
강운태 광주시장은 31일 간부회의에서 “공군본부와 광주시의 실무진이 6~7개월 동안 무등산 방공포대를 이전할 후보지 10여곳을 조사해, 공군도 동의하는 최적지 1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전남 목포부터 전북 부안까지 서해안을 따라 이전 대상지를 조사했으나 장소를 구체적으로 공개하기는 어렵다. 민간 땅이 아닌 국유지”라고 덧붙였다.
그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에게 수십 차례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을 건의했다. 국방부도 과학의 발달로 굳이 무등산에 방공포대가 있을 이유가 없고, 이전한다면 내륙이 아니라 서해 쪽 높은 산으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고 말했다. 그는 핵심적 관심사인 비용을 두고는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만큼 환경부가 이전의 주체가 돼 시비가 아닌 국비가 투입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공포대 대체 시설을 짓는 데 300억~500억원이 들어갈 것이다. 환경부는 내년 예산에 이전비를 반영해 구체적인 사업시행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2016년부터 착공해 2017년 이전을 완료한 뒤, 2018년에 무등산 정상을 복원해 상시적으로 개방하겠다는 일정도 내놓았다.
이에 따라 국방부가 방공포대의 이전 협의를 할 수 있게 승인하고, 환경부가 관련 예산을 확보하면 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 쪽은 “이전지는 대외비지만 잠정적으로 선정된 상황이다. 장소와 비용뿐만 아니라 이전지를 관할하는 지자체와 주민들을 설득하는 일도 관건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무등산 정상부에는 1966년 공군부대가 주둔하면서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시민들의 출입이 금지됐다. 1990년대 들어 광주시민과 환경단체는 무등산 정상을 시민에게 돌려달라는 운동을 꾸준히 전개했다. 이 시민운동에 힘입어 99년 중봉(해발 900m)의 안부(말안장처럼 움푹 들어간 부분) 4만1427㎡를 차지하고 있던 지원부대가 나주로 이전해 갔고, 광주시는 14억원을 들여 주둔지 일대를 억새와 떼풀 등 자연식생으로 복원했다. 이후 정상 부근 1100m 고지대에 남은 방공포대를 이전하는 사업이 미완의 과제로 남겨졌다. 방공포대가 철조망을 치고 주둔 중인 면적은 천왕·지왕·인왕봉 등 봉우리 3곳을 포함해 10만8000㎡이고, 이 가운데 9만5000㎡는 공유지, 1만3000㎡는 사유지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