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선관위, 의혹 조사 착수
이낙연·주승용 양쪽서 정황 제기
투서로 문제된 당비만 5260만원
이낙연·주승용 양쪽서 정황 제기
투서로 문제된 당비만 5260만원
통합 전 민주당의 전남지사 후보 경선에 대비해 권리당원을 확보하려고 유력 후보들이 수천만원의 당비를 대납한 정황이 드러나 선거관리위원회가 조사에 나섰다.
전남도선거관리위원회는 15일 “옛 민주당 후보 경선에 대비해 유력 후보들이 경선에서 30%를 차지하는 권리당원을 확보하려고 당비 6000원씩을 대납했다는 정황이 불거져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선관위는 14일 새정치민주연합 전남도당에서 올해 초 옛 민주당의 권리당원 명부와 당비 입금내역 등 자료를 넘겨받아 분석중이다. 도선관위는 후보 쪽에서 당비를 대납한 사실이 확인되면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도선관위 쪽은 “현재는 관련된 후보가 누구인지 특정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행위의 주체나 신분, 규모와 양태에 따라 적용 법규와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며 “행위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확인해야 정치자금법 위반(금품수수)인지, 공직선거법 위반(제3자 기부행위)인지 법리판단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옛 민주당계의 권리당원 모집 정황은 이낙연 후보와 주승용 후보 등 양쪽에서 두루 제기되고 있다. 당비 대납으로 의혹을 사고 있는 입금 규모는 적게는 5200만원 많게는 9100만원에 이르고 있다.
도선관위 등에 접수된 투서에는 이 후보 쪽 지역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난 1월3~4일 광주농협에서 520여만원, 장성 940여만원, 함평 220여만원, 영광농협에서 1600만원 등 3280여만원이 당비로 입금됐다. 2월28일에는 함평 한 농협에서 540여만원, 창평농협에서 330여만원, 담양에서 560여만원, 영광에서 550여만원 등 1980만원이 입금된 사례가 있다.
중앙당 등에 들어간 진정서에는 주 후보 쪽 지역구에서 당원이 늘어난 정황이 들어 있다. 지난해 11월5일 여수축협에서 342건 205만원, 11월6일 여수축협에서 200건 120만원, 11월12일 여천농협 선원지점에서 220건 130만원, 여천농협 화양지점에서 250건 150만원 등이 입금됐다. 또 지난해 11월29일엔 여천농협 죽림지점에서 702건 420만원, 여천농협 안산지점에서 239건 143만원, 농협 여수2청사 출장소에서 250건 142만원이 들어간 내역도 담겼다.
두 후보 진영은 “당비 내역이 유출됐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라며 말을 아꼈다.
옛 민주당에선 한달 당비 1000원을 내면 일반당원, 반년 당비 6000원을 내면 권리당원의 자격을 얻었다. 당시 옛 민주당의 경선룰은 ‘당원 50%(대의원 10%+권리당원 30%+일반당원 10%), 시민여론조사 50%’를 합산해 평균을 내는 방식으로 잠정 결정됐다. 이 때문에 시민 여론조사의 차이가 적을 경우 공천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권리당원의 확보에 후보들이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 권리당원은 통합된 새정치민주연합의 도지사 후보 경선에는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당비 대납은 효과를 거둘 수 없는 상황이 됐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