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세계 사업계획서 제출
‘과학시설은 시늉만’ 가능성
쇼핑몰 위주 우려 커져
‘과학시설은 시늉만’ 가능성
쇼핑몰 위주 우려 커져
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를 위한 사이언스콤플렉스 민간유치 사업자 선정 일정이 연기됐다. 사업을 맡은 대전마케팅공사는 사이언스콤플렉스 민간사업자 선정 심사를 잠정 연기했다고 14일 밝혔다. 과학공원을 재창조해 시민에게 돌려준다는 취지로 사업이 추진됐지만 그동안 공공성과 과학성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3일 마감한 민간사업자 공모에는 롯데와 신세계가 사업계획서를 냈다.
이 사업은 엑스포과학공원 5만4048㎡에 국비 500억원과 민자 2천여억원을 들여 특허정보원(6600㎡)과 사이언스몰(4만7448㎡)을 짓는 것이다. 하지만 과학전시·체험시설이 권장사항 수준이고, 선정 심사위원도 해당 분야 전문가가 배치되지 않으면서 공공성·과학성 부족 우려가 터져 나왔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소상공인생계대책위원회 등은 사이언스몰에 로봇체험관·3D(4D)영상관·판매시설·대관광차·전망대 등을 설치할 수 있다고만 규정돼 있어 형식에 그칠 가능성이 높고, 심사위원도 공공·과학 분야는 배제하고 시·조달청의 인력풀을 활용하지 않는 등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공원부지인 예정지는 용적률이 800~1200%에 달하는 상업부지로 전환되는데, 시민을 위한 과학전시·체험시설 규모를 명시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고만 규정한 것은 대규모 상업시설 유치에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마케팅공사 쪽은 “공공성을 보완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심사위원은 신청한 500여명 가운데 1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므로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꾸려질 수 없다”고 해명했다.
이광진 대전경실련 사무처장은 “엑스포과학공원은 시민의 공원인데 재창조를 명분 삼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기초과학연구원과 대기업 쇼핑몰이 차지한다면 주인인 시민은 쫓겨나는 꼴이다. 재창조 사업의 애초 취지를 살려 시민을 위한 공공성과 과학성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