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90만명…인구감소폭 줄어
도, 개선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
도, 개선 위한 다양한 정책 추진
전남 인구를 200만명으로 회복하는 것이 가능할까?
전남도는 2일 “급격한 인구 감소 추세가 누그러지는 대신 합계출산율이 올라가는 등 인구 지표에 청신호가 들어오고 있다. 10년 전에 허물어진 도민 200만명 시대를 다시 열기 위해 다각도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화학·철강·조선 분야 청년 일자리 창출 △신생아 양육비 30만원 지원 △분만 산부인과병원 5곳 운영 △76개면에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 △공공 산후조리원 단계적 확충 등을 추진한다.
앞서 이낙연 전남지사는 지난 7월 취임사를 통해 “인구 200만명을 회복하고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저의 바람”이라며 인구를 늘리는 데 도정의 역점을 두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주민등록을 기준으로 한 전남 도민은 2003년에 202만4422명을 기록한 뒤 다음해부터 20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하지만 도는 지난해 인구가 190만7172명으로 10년 새 7만9020명 줄었지만, 한해 감소 인구는 2004년 3만1538명, 2006년 2만4280명, 2008년 1만836명을 거친 뒤 2011년 4146명과 지난해 2446명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는 데 주목하고 있다.
또 2007~2013년 7년 연속 전남의 합계출산율이 전국 최고를 기록한 점을 청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합계출산율이란 여성이 일생 동안(15~49살)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이른다. 전남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52로 전국 평균 1.18보다 높았다. 도는 신생아 양육비 지원과 분만 산부인과 운영 등 출산장려 정책을 펼친 효과로 분석했다.
더불어 22개 시·군이 신생아 1명당 평균 160여만원을 지원하는 출산장려금도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 아이 출산 때 지급하는 장려금은 나주 470만원, 해남 270만원, 보성 240만원, 강진·영광·장성 120만원, 완도·진도 100만원 등이다. 둘째를 낳으면 최고 470만원(나주)까지, 셋째는 1170만원(함평)까지 장려금이 올라간다.
전광호 도 지역복지 담당은 “전남은 지난 7월 65살 이상 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노인층이 많고 가임 여성이 적은 구조 탓에 갑자기 인구가 늘지는 않겠지만 장기 계획을 세워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호남지방통계청은 최근 인구현황 자료를 내고 전남의 인구가 지난해 176만2000명에서 2030년 171만7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