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여종 중 대전산 1개뿐인데다
국외 참가자들에 항공·숙박비 줘
“낭비행사”…시 “올해 축소시행”
국외 참가자들에 항공·숙박비 줘
“낭비행사”…시 “올해 축소시행”
대전시가 2012년부터 여는 ‘푸드&와인축제’가 대표적인 낭비성 행사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예산은 20억원 안팎이지만 협력업체 등의 후원을 고려하면 실제 행사비용은 예산을 크게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대전시는 축제 구조조정에 나섰다. 이 축제는 민선 6기 시정인수위원회인 시민경청위원회가 ‘폐지·축소’ 건의를 하면서 논란이 비롯됐다. 시민경청위 문화분과는 지난 7월 초 대전시가 지역의 대표축제로 육성하겠다며 개최해온 푸드&와인축제가 대전의 정체성, 생산품, 전문성 등과 사실상 관련성이 없다며 폐지하거나 축소할 것을 대전시에 건의했다.
시민경청위는 “축제에 출품되는 와인 3천여종 가운데 국산은 3종뿐인데, 그나마 대전산은 판암동 일대 포도를 위탁해 생산하는 소량의 ‘채러티’가 유일해 구색 갖추기 수준이다. 국산 와인은 대부분 충북 영동산이어서 대전과 연관성이 적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또 축제에 참가하는 국외 와인단체 관계자들에게 시가 항공료와 숙박비를 지원하며 ‘모셔오기’를 해온 사실도 드러났다. 혈세를 들여 국외나 다른 지역의 특산 와인을 홍보하고 판매한 셈이다.
시민경청위에서 활동한 한 위원은 “축제는 수요자 중심으로 열려야 하고 참여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행정기관은 편의를 제공하면 된다. 대전의 축제 41개 가운데 불필요한 축제는 폐지·축소하고 정체성에 걸맞은 대표축제를 집중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용순 시 관광축제계장은 “지난해에는 하나은행 후원금 4억여원을 포함해 24억6천만원이 들었으나 올해는 15억원으로 예산이 줄었다. 외국인 초청 대상은 심사위원 105명 가운데 53명인데 계약상 항공료 지원 등을 취소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계장은 “민선 6기 출범 이전에 전시관 대관 및 업쳬들과의 계약이 진행돼 축제를 취소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종학 시 경제특보는 “경청위 제안을 받아들여 축제를 구조조정하고 있다. 시민 여론은 대전의 정체성은 과학이고, 과학과 관련한 다양한 축제가 열리는 것을 원하고 있다. 정체불명의 축제를 정리하고 현재 예산이 3억여원에 불과한 사이언스 페스티벌을 시민이 원하는 과학 축제로 설계하겠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