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3학년은 학교장 자율로
광주·제주도 ‘등교 늦추기’ 추진
광주·제주도 ‘등교 늦추기’ 추진
경기도에서 시행중인 ‘9시 등교’ 정책이 전북, 광주, 제주 등지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교육청은 15일 “10월1일부터 모든 학교의 등교 시간을 오전 9시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30분 늦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선거 때 공약했던 ‘아침이 행복한 학교’를 실현하려는 정책이다. 다만 대입 수능시험을 앞둔 고등학교 3학년의 등교 시간은 학교장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전북지역 학교의 등교 시간은 고등학교의 81%가 오전 7시40분~8시20분, 중학교의 68%가 8시~8시20분, 초등학교의 97%가 8시~8시40분으로 대부분 오전 8시 전후였다. 정옥희 전북도교육청 대변인은 “일괄적으로 오전 9시까지 등교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등교 시간보다 30분씩 늦추는 것이다. 많은 학교가 동참할 수 있도록 꾸준히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교육청도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등교 시간을 늦추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은 이른 시일 안에 초중교교장단협의회를 열어 추진 방법과 일정을 논의하고, 이후 학부모·학생·교사 등의 의견을 듣기로 했다. 광주지역의 등교 시간은 4년 전 0교시가 폐지되면서 고등학교 3학년은 오전 7시40분, 1~2학년은 오전 8시로 굳어졌다. 대부분 중학교와 초등학교도 8시30분 이전에 등교하고 있다. 광주시교육청은 혼잡 시간과 통학 거리 등을 고려할 때 10~20분 정도는 늦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영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은 “학생의 성장을 돕고,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해 광주 실정에 맞는 최적의 등교 시간을 찾겠다”고 밝혔다.
제주도교육청도 9시 등교를 내년 1학기부터 점진적으로 추진한다. 이석문 제주교육감은 지난 13일 “학생들이 아침밥을 먹을 수 있는 환경으로 점차 변화해 가야 한다. (9시 등교는) 합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도교육청은 9시 등교를 못박는 대신 0교시를 폐지해 현재보다 30분에서 1시간 늦추도록 조정할 계획이다.
박임근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