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합 성명, 대책 촉구
“교육부 2012년 육안조사서
지붕·천장 석면 탓 교실서 검출”
“교육부 2012년 육안조사서
지붕·천장 석면 탓 교실서 검출”
대전지역 학교 10곳 가운데 9곳에서 석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환경단체들이 피해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22일 성명을 내어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새정치민주연합 김영주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12년 12월 교육부의 육안 조사에서 대전지역 학교 476곳 가운데 90%인 428곳이 석면(의심) 학교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전환경연합은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1급 발암물질로 한국에서도 2009년에 사용이 전면 금지됐으나 이들 학교는 지붕재, 천장재 등 건축자재로 사용된 석면 자재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단체는 “실제 교실 안에서 채취한 먼지 시료에서 석면이 검출됐다. 건축물의 노후, 리모델링, 재건축 과정 등에서 학생과 교직원들이 석면 먼지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다현 대전환경연합 시민참여팀장은 “전문기관에 맡겨 학교 석면 자재를 조사하고, 파손 상태가 심한 학교는 비석면 자재로 전면 교체하는 등 학생과 교직원들의 석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교육청, 학교, 학부모, 환경단체 등이 참여해 석면 안전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