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진도 현장에서 사고수습, 수색구조, 가족지원 등 활동을 펼쳤던 ‘세월호 침몰사고 범정부사고대책본부’(사고대책본부)가 18일 해체된다.
사고대책본부는 18일 오후 4시 진도군청 상황실에서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 주재로 마지막 점검회의를 열어 침몰사고 수습 과정을 평가하고 부처별 후속대책을 논의한 뒤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한다.
사고대책본부는 지난 4월16일 정홍원 국무총리가 주재한 관계장관회의에서 구성이 결정됐다. 이 해양수산부 장관이 본부장을 맡았고,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전남도, 진도군 등 관계기관 20여곳이 참여했다. 공식 활동 기간은 4월17일부터 216일 동안이다.
사고대책본부는 세월호 실종자를 수습하기 위해 민·관·군 합동구조팀을 구성해 수중수색에 전력을 기울였다. 4월16일~11월11일 210일 동안 이뤄진 수중수색에는 잠수사 연인원 6304명이 하루 평균 15차례 모두 3150차례 참여했다. 이들은 부양한 43명을 포함해 모두 295명의 주검을 수습했다.
사고대책본부는 실종자 유실을 막기 위해 269척의 어선을 동원해 조류와 풍향에 맞춰 해상수색을 펼치기도 했다.
사고대책본부에는 자원봉사와 구호물품 등 국민의 온정이 이어졌다. 진도 실내체육관과 진도 팽목항 등지에서 세월호 사고 수습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는 6902개 단체 연인원 5만145명에 이르렀다. 국민이 보내온 구호물품은 78만2444점이었고 이가운데 71만8968점이 피해가족 등에게 지원됐다.
이밖에도 직접 피해를 입은 피해가족한테 생활안정자금과 긴급복지·휴직지원금 등을 전달했고, 장기간 수색구조 활동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진도지역 어업인과 소상인에 특별정책자금을 배정하기도 했다.광주/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