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약속했던 500억원
과기공제회 지분투자로 바꿔
15개층 소유권 30년 인정 조건
경실련 “사업 백지화하라”
과기공제회 지분투자로 바꿔
15개층 소유권 30년 인정 조건
경실련 “사업 백지화하라”
대전 엑스포 재창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이언스콤플렉스 사업이 만신창이가 됐다. 애초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가 엑스포과학공원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 건물을 짓는 조건으로 대전시에 주기로 했던 500억원이 미래부 유관 기관 지분 투자로 둔갑했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미래부와 함께 과학기술인공제회에 500억원을 지분으로 인정해 주는 협의안을 제안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협의안은 사이언스콤플렉스 43개층 가운데 상업시설 등 28개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사이언스 시설)의 소유권을 30년 동안 과학기술인공제회에 인정해 주는 것이 뼈대다.
대전시가 이런 제안을 한 것은 지난해 11월 선정한 사이언스콤플렉스 우선협상대상자(신세계 컨소시엄)와 오는 16일까지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사업 실시 협약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세계 쪽은 미래부의 500억원 지원금을 받는 조건으로 사업계획을 세웠으며, 지난해 말까지 협약을 할 계획이었으나 500억원 지원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1차 연기됐다.
500억원 지원 약속은 2013년 미래부가 과학벨트 부지매입비 국비 확보가 용이하지 않자 대전시 소유의 엑스포과학공원에 아이비에스를 입주시키는 것을 제안하면서, 대전시의 엑스포과학공원 재개발을 위한 토지 용도 변경 승인, 사이언스콤플렉스의 공익시설에 500억원을 주겠다고 해 이뤄졌다.
이에 대해 이광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시민의 자산인 과학공원을 재창조하겠다던 대전시가 공원을 정부와 대기업에 다 뺏기고 푼돈 챙기는 임대업자로 전락했다. 시민은 정부 부처가 약속한 지원금을 투자비로 대체하고 지분을 인정하는 시정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다. 사업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