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이 금형산업 등 금속가공업의 메카로 성장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대전시는 14일 고용노동부가 공모한 ‘지역 특화사업’에 대전시가 금속가공업 육성사업 지역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의 지역 특화사업 공모에는 대전시(금속가공업)와 경기도(섬유패션산업), 전남도(생명산업), 대구시(안경산업) 등이 선정됐다. 지원금은 연간 40억원이며, 선정 지역은 2016년까지 2년 동안 해당 업종에서 신규 직원을 채용하면 1인당 연간 1080만원씩 지원받는다.
시는 16일까지 대전지방고용노동청, 대전테크노파크, 금속가공협회 등과 실무팀을 꾸려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연 뒤 다음달부터 사업신청서를 받을 계획이다.
시는 대전에 정부출연연구기관 등 연구소의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지역의 금속가공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고, 국내를 대표하는 금형기업 등 1000여곳의 관련 업체가 자리잡고 있는 점을 이유로 특화사업 지정을 신청했다.
시는 지역 금속가공업체들이 인건비 부담을 덜어 기업 경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지원 기간은 2년이지만 고용노동부의 기술개발 인력 양성 등 후속 사업을 통해 관련 업체에 대한 지원이 장기간 이뤄져 대전이 국내 금속가공업의 중심에 설 것으로 내다봤다.
홍춘강(강동테크 대표) 융합금형발전위원회 회장은 “대전은 70~80년대 공작기계의 중심이었고, 90년대 이후에는 벤처기업단지의 개발품을 제작하면서 규모는 작아도 기술 노하우는 축적돼 있는 업체들이 많다. 특화사업 지정이 금속가공업의 중흥을 이루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