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00억 지원 사실상 무산된채
시, ‘민자유치사업’ 실시협약
대전경실련 릴레이 1인시위
“대기업 유통시설에 불과 우려”
시, ‘민자유치사업’ 실시협약
대전경실련 릴레이 1인시위
“대기업 유통시설에 불과 우려”
대전엑스포과학공원 재창조 프로젝트의 핵심인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 사업이 실시협약을 했다. 그러나 미래창조과학부가 약속한 공익·과학시설(사이언스센터) 건립 비용 500억원 지원이 흐지부지된 시점에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과학공원을 대기업과 정부에 내주는 것이므로 사업을 백지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대전시와 대전마케팅공사, 신세계컨소시엄은 26일 오전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대전엑스포 사이언스콤플렉스 조성 민자유치사업’ 실시협약을 했다. 협약 내용은 과학공원 4만7448㎡를 30년 동안 임대하고 사용료는 연간 120억원으로 하며, 착공 시 공공성 강화기금 80억원 납부, 공사 금액의 55%를 지역업체와 공동 도급하는 것 등이다. 그러나 미래부의 500억원 지원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과학공원에 기초과학연구원(IBS)과 사이언스콤플렉스를 짓는 조건으로 추진되던 과학·공익시설 건설은 ‘건립비가 투입되도록 한다’는 문구로 대체됐다.
대전경실련 동네경제살리기 추진협의회는 이날 오전 대전시청에서 ‘대기업 특혜, 엑스포 재창조 사업 백지화’를 촉구하는 회원 릴레이 1인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최악의 경우, 사이언스콤플렉스는 사이언스센터 15개층 등 43층 규모에서 상업시설만 남는 28층 규모로 축소될 수 있다. 공익성과 과학성이 사라진 사이언스콤플렉스는 대기업 유통시설에 불과하다. 시민의 공원을 대기업과 정부에 내주는 사업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강철식 대전시 과학문화산업본부장과 신태동 대전마케팅공사 이사는 “미래부와 기초과학연구원 건설을 위한 토지계약을 아직 맺지 않았다. 500억원은 미래부가 이 시설을 엑스포에 짓는 조건으로 지원하기로 했던 만큼 어떤 방식으로든 받을 것이다. 상반기까지 500억원 문제를 해결해 사이언스콤플렉스 설계에서는 사이언스센터가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