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호남고속철 운영계획에 대해 대전권은 “별도 노선으로 서대전역 등에 케이티엑스가 운행하는 것은 다행”이라는 반응이다. 그러나 “정부의 꼼수”라는 반발과 “호남·충청의 상생 발전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6일 대전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토부의 발표 내용을 갖고 판단하면 서대전역을 일부 지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이라 할 수 있는 코레일의 대안이 채택되지 않아 아쉽다”고 말했다. 코레일의 대안은 호남고속철을 주말 기준 1일 62편에서 82편으로 늘리고, 이가운데 18편(22%)은 서대전역을 경유하는 것이다.
권 시장은 “호남고속철 노선은 (오송~익산)전용선에서 운영하고, 용산역~서대전역~논산역~전북 익산을 운행하는 별도의 케이티엑스를 운행하면 대전권~호남권은 직행이 아닌 환승을 해야 한다”며 “호남 쪽에서 대전으로 오기도 힘들고, 대전에 거주하는 50만 호남 출향인의 교통 불편도 불가피해졌다. 호남과 충청의 상생 발전에 장애가 될 것”이라고 아쉬워 했다. 그는 “내년 수서발 케이티엑스 개통 시점에 맞춰 호남고속철의 운영 계획이 재조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권 경제·시민사회단체·직능단체 등 236개 단체로 꾸려진 호남선 케이티엑스 서대전역 경유 추진위원회(서대전역 경유 추진위)는 이날 성명을 내어 “국토부의 발표는 국민들의 철도 이용편의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별개의 철도 노선을 신설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서대전역~논산역 이용객의 최소한의 편의를 보장하겠다는 ‘꼼수’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서대전역 경유 추진위는 “호남고속철 개통은 대전의 서대전역권과 충남 계룡·논산권 이용객들의 호남권 이동에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국토부의 결정은 고속철이 갖는 공공성마저 훼손한 결정이며, 이로 인해 지역 간 분절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정부는 서대전역 구간의 고속철을 이용하던 연간 300만명의 이동 편의에 대한 충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이번 갈등의 원인이 된 서대전역권 선로 개량사업을 즉각 계획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창기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이번 결정은 호남과 수도권의 접근성만 고려한 수도권 중심의 정책으로, 호남고속철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사업이라는 국토부의 애초 설명은 기만이었다. 정부는 충청과 호남의 단절을 해소하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