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충남도청 등 문화유산 활용
문화예술촌 등 유치 추진
“역사와 문화 살려 활성화”
문화예술촌 등 유치 추진
“역사와 문화 살려 활성화”
원도심에 산재해 있는 옛 관공서, 공공건물 등을 활용하는 도시재생 대책이 마련됐다. 대전시는 25일 선화동 옛 충남도청, 대흥동 옛 충남도 관사촌, 소제동 대전역 동광장 등 3곳에서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해 근대문화예술특구를 조성하는 원도심 재생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의 계획을 보면, 옛 충남도청은 문화 관련 국책사업, 옛 충남도 관사촌은 문화예술촌, 대전역 동광장은 국립철도박물관을 유치하는 것이 뼈대다.
옛 충남도청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대전시민대학, 근현대사전시관을 유지하면서 교육기관인 한국종합예술학교 중부캠퍼스와 문화 관련 국책사업인 문화예술복합단지를 유치한다. 옛 도청 뒷길은 예술작품을 설치하고 가로를 정비해 예술과 낭만의 거리로 탈바꿈하게 된다. 옛 충남도 관사촌은 전체 10채 가운데 도지사 공관이던 1호 관사에 근대문화전시관을 설치하고, 2~10호 관사는 예술인들이 입주해 창작과 작품 판매를 하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올해 76억원을 들여 관사촌을 매입하고 1호 관사를 보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대전역 동광장 일대 6만㎡에 국립철도박물관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곳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철도 보급창고와 관사 40여동이 남아 있고, 코레일·한국철도시설공단 본사가 대전역에 입주해 있어 철도교통의 중심이라는 상징성이 있다. 시는 도시재생 계획을 원활하게 추진하려고 중소기업청에 ‘대상지역 근대문화예술특구 지정’을 신청하는 한편 지난달 체계적인 원도심 재생 사업을 전담하는 도시재생본부를 신설하고 도시재생정책과, 균형발전과, 도시정비과를 설치했다.
박월훈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은 대전의 역사와 문화를 살려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옛 충남도청~대전역 구간 중앙로는 수시로 차량 통행을 제한하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열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