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방사성폐기물 3만드럼
경주방폐장으로 이송해야”
“하나로 가동중단 사실 은폐
민관 공동 검증단 꾸려야”
경주방폐장으로 이송해야”
“하나로 가동중단 사실 은폐
민관 공동 검증단 꾸려야”
대전원자력연구원(원연) 안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내진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자 대전시와 유성구,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정부 차원의 안전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대전시와 시민 등이 참여하고 있는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는 23일 “하나로는 그동안 연구용이라는 이유로 중앙정부의 안전대책에서 제외됐으나 규모만 작을 뿐 방사성 물질을 에너지로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상업용 발전시설 수준의 원자력안전협의회를 설치하라”고 촉구했다. 또 “원자력연구원 등 대전지역의 원자력 관련 시설에서 3만드럼의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하고 있다. 이를 경주 방사성 폐기물 최종처분장으로 신속하게 이송해야 하며, 정부는 이송 과정의 안전 매뉴얼을 마련해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하나로는 1995년 준공 당시부터 내진 기준에 미달됐으나 측정 기술력의 한계로 이제야 문제가 발견돼 다른 원전 관련 시설의 안전성도 신뢰할 수 없게 됐다. 정부는 관련 시설에 대해 전면 재점검을 실시하고 안전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허 구청장은 “과거 내진 기준인 리히터 규모 6.5는 현재 국내 대학병원보다도 낮은 수치로, 최소한 일본의 7.0 이상으로 상향 조정돼야 한다. 하나로 원전과 보관 중인 방사성 폐기물은 33만 유성구민은 물론 153만 대전시민 거주지의 한가운데에 위치해 있는 만큼 주민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대전환경운동연합, 대전충남녹색연합, 유성핵안전주민모임 등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20일 성명을 내어 “원연은 대전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겠다면서도 하나로가 내진 안전성 평가에서 문제가 드러나 가동을 멈춘 사실을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에도 보고하지 않는 등 철저히 은폐해왔다”고 비판했다. 이들 단체는 “원연은 관련 내용을 시민에게 공개하고 민관 공동 검증단을 꾸려 하나로 재가동 여부를 협의해야 하며, 정부는 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민병주 국회의원(새누리당)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해 ‘후쿠시마 사고 후속조치(하나로 구조물 내진 성능 및 안전성 평가) 검토’ 보고서에서 하나로의 건물 벽체 가운데 4.8%가 내진 기준(리히터 규모 6.5)에 불만족한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원연은 지난해 7월부터 하나로 가동(교육·연구·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을 중단했다는 내용을 지난 19일 공개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