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 열린 안전대책회의서 밝혀
시민협은 ‘원전안전협’ 설치 요구
내진설계·주민안전대책도 촉구
시민협은 ‘원전안전협’ 설치 요구
내진설계·주민안전대책도 촉구
내진설계 기준에 미달돼 가동을 중단한 하나로 원자로의 안전대책을 논의하는 회의가 열렸다. 대전시민은 원자력발전소 수준의 협의회 설치를 요구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하나로 재가동 과정을 모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는 9일 대전 유성 한국원자력연구원 회의실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자력안전기술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하나로 건물 내진설계 기준 미달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 원자력안전시민협의회는 “하나로는 연구용이라는 이유로 안전대책이 허술해 주민들이 늘 불안하다. 내진설계 기준에 미달해 가동이 중단된 사실도 먼저 밝히지 않았다. 하나로 운영 및 원자력 관련 시설의 현황 및 관리 사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원자력발전소 지역에 설치된 규제기관 중심의 ‘원자력안전협의회’를 대전에도 설치·운영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 쪽은 “하나로 원자로와 냉각 계통 구조물은 안전하고, 외부 건물 벽체 전체 면적의 약 4.8%가 내진설계 기준 0.2g(리히터 규모 6.5)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보완하는 데는 60억~7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고 올해 12월 말에 재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단계별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한 뒤 안전진단 등을 거쳐 재가동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지역에 원자력안전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전 유성, 부산, 경북 경주·영덕 등 전국 원자력발전소 주변 14개 지역대책위원회로 꾸려진 탈핵지역대책위원회는 지난 8일 서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안전을 무시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설정 규탄’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수력원자력과 일부 지자체는 행정편의를 앞세워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축소하려 하고 있다.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은 국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