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학교 10곳 납 검출” 발표에
울산시민연대, 시에 질의서 보내
시 “국비 지원 요청한 상태” 답변
울산시민연대, 시에 질의서 보내
시 “국비 지원 요청한 상태” 답변
학교 인조잔디 운동장의 유해성이 드러나면서 울산의 지방자치단체 등이 조성·관리하는 생활체육시설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유해성 조사와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울산시민연대는 18일 “울산시와 울산지역 구·군에 이들 지자체가 조성·관리하는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전수조사 계획 관련 질의서를 보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질의서에서 “울산지역 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이 조성·관리하는 인조잔디 운동장 30곳 가운데 25곳이 인조잔디 유해성 규제 기술표준 제정 전에 조성된 곳인데, 이들 운동장에 대한 유해성 조사가 단 한 곳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민의 건강권 보호를 위해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유해성 전수조사 계획이 있는지, 조사는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지, 친환경운동장(천연잔디, 마사토 등)으로 전환 여부 등에 대해 밝혀줄 것”을 요청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 결과, 울산지역 조사 대상 43개 학교 가운데 10곳의 인조잔디 운동장에서 납·카드뮴 등 중금속과 각종 휘발성 유해화학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손익희 울산시 체육지원과장은 “문화체육관광부의 계획에 따라 지역 생활체육시설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기로 하고 국비 지원을 요청해놓은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지역에서도 마산와이엠시에이(YMCA),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민주노총 경남본부,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경남지부 등이 이날 경남도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남도 내 학교 운동장의 인조잔디 유해성에 대한 전수조사와 인조잔디 철거계획 제시 등을 촉구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