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청 토론회서 비판 쏟아져
“애초 400억~700억원 적자 예상”
“도심 마지막 농경지 가치 살려야”
“애초 400억~700억원 적자 예상”
“도심 마지막 농경지 가치 살려야”
대전시의 갑천지구 개발계획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20일 오후 대전시청에서 열린 ‘갑천지구 개발사업 대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재정적자, 환경훼손, 관리비용 등 문제점을 제기하며 개발계획을 비판했다. 일부 참석자는 ‘대전 도심의 유일한 농경지’라는 상징성과 가치를 살려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오훈 대전도시개발재생연대 운영위원은 “대전은 최근 30여년 동안 둔산에 이어 노은, 도안 신도시 등 서남부 지역에서 도시개발이 진행돼 택지 공급에 여유가 있고 최근에는 인구마저 줄고 있다. 주거단지, 인공호수를 포함한 갑천지구 개발계획은 현실성이 떨어지고 환경파괴 및 관리비용 문제도 우려되므로 재고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태섭 도안신도시 2단계 공영개발추진위원회 사무국장은 “갑천변 농업지역을 전용해 15만여평의 인공호수를 조성하는 것은 전시성 세금낭비에 불과하다. 갑천 옆에 따로 인공호수를 조성한다면 갑천 생태계를 파괴하고 인공호수도 결국 부패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양흥모 대전충남녹색연합 사무처장은 “갑천지구 개발사업은 애초 400억~700억원의 적자가 예상됐다. 친수구역을 넓혀 개발부지를 확장하면 개발비용도 늘어나는데 과연 적자 문제가 해소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세종시 중앙공원 부지 안 금개구리 집단서식처 농경지 30만평 원형 보전’ 사례를 들어 “갑천지구는 대전 도심에 남아 있는 마지막 농경지이므로 상징성과 가치를 디자인해 농경지를 원형 보존하고 새로운 형식의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도시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갑천지구 개발사업은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가 대전 서구 도안동과 유성구 원신흥동 93만3970㎡에 2018년까지 호수공원 등을 조성하고, 4개 블록에 4800가구(인구 1만2900명) 규모의 주택단지(36만3000㎡)와 근린생활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월 친수구역으로 지정·고시됐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