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등재 후속계획 발표
유적 복원·연구 등 740억 투입키로
백제 자료관 등 백제학 연구 진행
교통·음식·숙박 등 관광기반 정비
안 지사 “주민 삶·소득 보탬되게”
유적 복원·연구 등 740억 투입키로
백제 자료관 등 백제학 연구 진행
교통·음식·숙박 등 관광기반 정비
안 지사 “주민 삶·소득 보탬되게”
웅진·사비시대 백제를 계승하는 것을 뼈대로 한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 등재 후속계획이 추진된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7일 귀국 기자회견을 열어 세계유산 등재 후속계획을 밝히고 1400년 전 동아시아 문명교류의 역사를 간직한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세계적인 명소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후속계획은 △백제왕도 사업 △백제학 연구 △동아시아문명교류역사관 건립 △이코모스(유네스코 자문기구)의 통합 관광관리계획·유산별 방문객 관리 계획 수립 등이다.
안 지사는 “백제왕도 사업은 후속계획의 핵심으로 세계 역사도시로서의 위상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내년 6월까지 기본계획을 확정한 뒤 문화재청, 전북도,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와 함께 문화유적을 복원·정비하고 공산성·관북리 유적 등에 대한 발굴·조사·연구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도는 관북리 유적과 나성, 능산리, 공산성 일대 사유지 매입비 428억원 등 내년 740억원의 예산을 확보할 계획이다.
백제학 연구는 충남역사문화연구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며, 2017년 문을 여는 충남도립도서관에는 백제의 자료를 모은 자료관이 들어선다.
도는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을 세계유산통합관리센터로 확대해 운영한다. 또 관광객이 크게 늘어날 것에 대비해 공주시, 부여군과 함께 백제역사유적지구를 홍보하는 한편 주변의 교통과 음식, 숙박 등 관광기반시설을 정비하기로 했다. 도는 10일 부여에서 막을 올리는 서동연꽃축제를 비롯해 등재 기념 축하행사, 세계문화유산 인증서 전달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계기가 되도록 할 방침이다.
안 지사는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에 오른 것은 지역 주민들이 사유재산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등의 어려움을 이기고 역사유적을 보전한 덕분이다. 이제는 세계문화유산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과 소득을 높이는 구실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립공주박물관은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세계유산에 오른 것을 기념해 이날부터 ‘백제, 세계인을 맞이하다’ 특별전을 열었다. 이 전시에서는 공산성에서 출토된 청동거울·향합과 송산리 고분군에서 발굴된 금속·토기·전돌 등 유물 100여점이 선보였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