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1년, 광역단체장에게 듣는다]
권선택 대전시장이 24일 대전시장실에서 <한겨레>와 만나 시민 의견 경청과 현장 중심 행정을 강조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적절치 않다고 결론나면 따라
선거법 위반 측근들 관련
시민께 죄송하지만 오해 많아” 다음은 일문일답. -민선6기 시정의 특징은. “시장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시민의 의견을 시정에 반영하고 있다. 시의회에 산하단체장 인사청문회를 부탁해 후보가 적절한 인물인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도입했다. 적절치 않다고 결론나면 따랐다. 또 현장 행정을 중시한다.” -경청만 잘하고 반영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는데? “(웃으며) 시정에는 기조가 있다. 의견들을 다 반영할 수는 없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을 고가방식에서 지상트램(노면전차)으로 바꿨듯이 기조가 잘못됐다면 바로 잡는 것을 두려워 하진 않았다. 대전 행정 책임자로서 불평·불만이 적은 시정을 이끌려고 한다.” -전임 시장들이 중용했던 인물들이 대전시 핵심요직에 오르는 인사가 반복되면서 ‘권 시장은 측근이 없다’는 말이 나온다. “지역은 인력이 한정돼 있다. 또 능력있고 열심히 일하는 공무원은 당연히 요직에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래서 민선6기 행정 목표가 ‘자전하는 시정시스템’이다. 시장이 누가되든 눈치보지 않고 시민을 위해 소신 행정을 해야 하지 않겠나?” -대전의 현안 사업들이 대부분 갈등을 겪고 있다. 해법은?. “도안호수공원 조성사업은 시민·사회단체가 환경파괴 등을 들어 백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전담팀을 꾸려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문제를 보완할 것이다. 엑스포재창조사업은 사이언스콤플렉스 건설비 가운데 500억원 지원 문제가 타결돼 정상 궤도에 진입했다.” -대전의 미래비전은. “경제가 살고, 도시를 재생하고, 대중교통의 혁신이 있어야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 그래서 ‘대전 2030 그랜드플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원도심 재개발 등 지역균형발전과 트램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대중교통체계를 뼈대로 해서 대전의 지역별 개발과 성장 프로젝트를 마련하고 있다. 다음달에 공개할 계획이다.” -선거법을 위반해 재판이 진행중인데. “(한숨을 쉬며) 제 측근들이 관련돼 있고 등록안된 선거운동원들에게 일당을 줬다. 책임이 있으니 죄가 있다. 시민께 죄송하다. 하지만 저는 권모술수에 익숙한 정치인이 아니다. 오해가 너무 많다. 지금까지 일군 밭에 나무를 심어 대전의 미래세대에게 좋은 숲을 남겨주고 싶다.” 대전/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